Congenital Diaphragmatic Eventration in INFANCY

선천성 횡경막 이완증

  • Lee, Sang-Kyu (Department of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Dong-Weon (Department of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ang, Soo-Il (Department of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상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박동원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장수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Published : 1998.06.30

Abstract

Although diaphragmatic eventration in newborn infants is generally regarded as a rare condition, the need for accurate diagnosis and appropriate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etiological factors is well known. Recently the authors experienced five consecutive cases of diaphragmatic eventration below the age of two months(one to 55 days) requiring surgery. All were in males, and were left sided. Respiratory symptoms were present in 4 patients, and one patient showed inability to gain weight. Diaphragms were elevated to the level of the third to fifth intercostal spaces. Diaphragmatic plication through the abdomen gave excellent results. There was no postoperative mortality.

신생아 및 영아에서의 횡격막 이완증은 일반적으로 드문 질환으로 인식되어 있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원인별 처치의 필요성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최근 저자 등은 5 례의 선천성 횡격막 이완증을 경험할 수 있었고, 전 례 모두 수술이 적응되었다. 전 례 모두 생후 2개월 미만의 영아였고 모두 남아였다. 이완 부위는 전 예에서 좌측 횡격막이었다. 증상은 3례에서 호흡기 증상이 있었고 소화기계 증상은 없었으며 나머지 1례에서는 체중 증가불능 이 외는 무증상이었다. 전 예에서 방사선학적 변화가 저명하였고, 횡격막의 절정은 제 3에서 제 5늑간에 달하였다. 수술 술기로 저자 등은 경복부 접근 방법에 의한 횡격막 습벽 봉합술을 선호하였으며 수술 결과는 임상적으로나 방사선학적으로 우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