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ents' Responses on the Supporting or Conflicting Evidences on Thier Preconception

학생 선개념을 지지하는 증거와 반증하는 증거에 대한 학생의 반응

  • Published : 1998.09.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identify middle school and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preconceptions about dielectric polarization and explore the students' reponses on the supporting or conflictual evidences on their preconceptions by letting them observe the demonstrations using electroscope, charged material, six conductor rods and six insulator rods. Letting students select the demonstrations to be observed by themselves, students' evidence selection types were classified as two : to select the evidences to testify their uncertain preconceptions, and to obtain the confirmation evidences about their preconceptions. And each evidence selection types, again, could be subclassified as three and two respectively. When students observed the conflictual observations, all accepted the observation itself. For supporting observational evidences, almost of all students showed the error of 'acceptance of antecedent' in the syllogism, that is, they did not required the succeeding supporting observations. Students' reponses on the conflictual observational evidences were classified as two: to reject the hard core of preconceptions, and to modify the students' auxiliary ideas related to the hard core with preserving the hard core. The first type reponses were, again, could be classified as three subtypes but, in all cases, students introduced new concept to explain the conflictual evidences. This responses indicated that Lakatosian rather than Popperian view is more acceptable to understand the students' reponses on the conflictual evidences. The second type reponses also were classified as three subtypes, and it was found that more middle school students than college education students were involved in this second type. That is, students who did not have perfect understanding of auxiliary ideas related with the hard core of preconceptions were more apt to change or modify theses auxiliary ideas rather than reject the hard core, this means that the quality of understanding of auxiliary ideas also take an important role in the change of hard core concept.

본 연구는 정전기 유도(유전분극)현상에 대한 학생의 선개념을 조사하고, 선개념을 지지하는 증거와 반증하는 증거를 관찰하게 하여 학생의 반응을 조사하는 연구이다. 증거를 학생이 직접 선택하게 하였을 때, 선택 유형은 두 가지로 나타났다: 자신의 생각이 불확실하여 확인하기 위해 증거를 선택하는 경우와, 자신의 생각을 확신하면서 확증 증거로서 관찰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의 선택유형은 다시 각각 3개와 2개의 하위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학생의 관찰 결과를 보면 모든 학생이 관찰 결과를 받아들여, 자신의 생각을 반증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관찰자체를 거부하는 경우는 없었다. 자신의 생각을 지지하는 증거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학생이 후건 긍정식의 오류를 범하여, 계속적으로 확증증거를 요구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생각을 반증하는 증거에 대해서는 학생의 반응이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졌다: 반증 증거에 의해 자신의 생각을 폐기한 경우와 핵심원리를 폐기하기보다는 관련된 다른 보조 이론을 수정 보완하는 경우, 첫 번째 경우는 다시 3가지로 세분화되었는데, 공통적인 특징으로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 하였다는 것이었다. 이것은 학생의 개념 변화를 이해하는 데, 포퍼보다는 라카토스식 설명이 더 적절함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두 번째 경우도 다시 3개 하위 유형으로 나뉘어졌으며, 대학생보다는 중학생의 경우에 더 많았다. 즉, 관련 보조 이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에는 핵심원리(오개념)를 폐기하기 보다는 관련 보조 이론을 수정 보완하는 것으로 나타나, 개념변화에서는 관련 보조 개념에 대한 이해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