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duction, the Use, the Number of Workers and Exposure Level of Asbestos in Korea

우리나라의 석면 생산과 사용 및 근로자 수와 노출농도의 변화

  • 최정근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보건연구원) ;
  • 백도명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산업보건학교실) ;
  • 백남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산업보건학교실)
  • Published : 1998.11.13

Abstract

South Korea has been producing asbestos over 60 years. The use of asbestos was over 50 years for production of asbestos slate and 27 years for asbestos friction materials including asbestos textile and brake-lining. Thus, it can be supposed that asbestos related diseases such as asbestosis, lung cancer and mesothelioma could be found in the vulnerable workers exposed to asbestos in 1955-1975, given the average latency period of 10-30 years. Asbestos was produced primarily by Japanese during World War II In Korea. The production of chrysotile peaked to 4,815 tons in 1944. From 1978 to 1984, 10,000 tons of asbestos were produced annually. However, the production was interrupted by raising labor costs and extinction of mine reserves, and finally they had to depend on import for the need of asbestos. In 1945, there were 16 asbestos mines, in total, with the addition of new asbestos mines in South Korea. Imports of asbestos was increased from 74,000 tons to 95,000 tons during the period of 1976 - 1992. But the imports was reduced to 88,000 tons in 1995. Since, in addition to the import of asbestos itself, the imports of asbestos products were increased as well and the accumulation of asbestos reached to 30,000 tons during the period of 1964 to 1993. In 1965, there was only one asbestos company with 207 employees. But the size of asbestos industry has been expanded so much that 118 asbestos companies could be found in 1993 with 1,476 workers. However, there was no record on the survey of asbestos concentration to which workers were exposed in any companies in 1983. The record of the air-borne concentration of the asbestos in textile working places in 1984 showed 6.7 fibers/cc by geometric mean(GM), but it was reduced to 1.2 fibers/cc in 1993. GMs of asbestos in working places for construction materials and asbestos textiles were also decreased from 1.7 fibers/cc to 0.55 fibers/cc during the period of 1984 - 1996.

우리나라에서 석면생산은 약 60년 전 부터 시작되었으며 총 생산량은 약 145,000톤이었다. 이들의 대부분은 백석면이었으며 일부 토면과 산피(Sepiolite)였다. 충남 광천지방의 석면광산은 백석면이고 홍성지방의 석면은 토면이었다. 석면의 사용은 슬레이트 생산으로부터 시작하였으며, 일제시대부터 약 55년, 석면방직과 석면마찰제 생산이 27년 전부터 시작되었다. 석면의 수입량은 1976년부터 1995년까지 약 122만 톤이 수입되었으나 1976년 이전의 수입량까지 포함한다면 이보다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 석면의 수입은 급격한 증가가 없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년간 약 8만9천 톤이 수입된다. 이들의 대부분은 석면건축자재인 슬레이트, 석면판 등의 생산과 석면마찰제의 생산에 사용되고 있다. 석면의 노출농도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나 일부 근로자에서는 석면관련 질환의 발생이 염려되는 수준이었다. 석면방직업의 경우 1987년 최고 45.7 fibers/cc까지 달하였으나 1984년 6.7 fibers/cc이었으며, 96년 석면방직업에서 1.87 fibers/cc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허용기준을 초과하고 있었다. 브레이크라이닝 제조 사업장에서는 1984년 1.70 fibers/cc, 1966년에는 0.55 fibers/cc로 감소하고 있으나 극히 일부의 근로자에서는 허용기준을 초과하고 있었다. 따라서 석면관련 질환의 발생은 석면방직업과 석면마찰제 사업장에 국한될 것으로 보인다. 석면사업장은 1993년 118개이며 총 취급근로자 수는 6,636명이었을 것으로 추산되었다. 사업장수와 취급근로자수의 증가가 둔화되었다고는 하나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중 10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는 1,860명이며 20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도 561명에 달하고 있어 건강장해가 발생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폐암이나 중피종암 등이 밝혀지지 않은 것이지 없는 것은 아닐 것으로 추측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