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온과 세균 감염이 나일 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의 oxolinic acid 흡수와 배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Bacterial Infection on the Absorption and Elimination of Oxolinic Acid i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 김명석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 박성우 (군산대학교 수족병리학과) ;
  • 허민도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 정현도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KIM Myoung Sug (Department of Aquatic Life Medicin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Sung-Woo (Department of Fish Pathology,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HUH Min-Do (Department of Aquatic Life Medicin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JEONG Hyun Do (Department Of Aquatic Life Medicin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8.09.01

초록

Oxolinic acid (OA)를 경구 (80 mg/kg body weight)와 약욕 (20mg/$\ell$)의 방법으로 각기 다른 생리적 상태에 있는 나일 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에 투여한 후 어류의 각 장기 내에 분포하는 OA의 농도를 bioassay 법으로 분석함으로써 어류의 생리적 상태가 OA 흡수, 분포 및 배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육수의 온도를 $15^{\circ}C$$25^{\circ}C$로 한 실험구에 OA를 경구로 투여한 후 약물의 흡수와 배설을 비교해 보면, $15^{\circ}C$ 실험구에서의 약물 흡수와 배설속도는 $25^{\circ}C$ 실험구보다 느렸지만 각장기 내 최고농도는 $25^{\circ}C$ 실험구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OA를 약욕법으로 투여하는 경우 흡수 및 배설속도 모두 온도차에 의한 명확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약물투여의 실질적인 목표가 되는 병어에서의 약물분포를 분석하기 위하여 E. tarda에 인위감염된 어류에 OA를 경구와 약욕의 방법으로 투여하였을 때 각조직 내의 약물 분포 및 농도의 변화는 건강어에 대비하여 구별됨을 확인하였다.

The distribution and elimination of oxolinic acid (OA) following oral (80mg/kg body weight) and bath (20 mg/$\ell$) treatment were examined in the organs and plasma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on different temperatures and physiological conditions using a bioassay method. On the analysis of temperature effect, both absorption and elimination of OA after oral administration were delayed in the group at $15^{\circ}C$. but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peak concentrations in the tissues of the groups at $15^{\circ}C$ and $25^{\circ}C$ was not revealed. However, the changes of maximam concentration, absorption and elimination rates in the tissues of fish following bath treatment depending on different temperatures were mo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the studies with oral administration. The pharmacokinetics of OA in the tissues of diseased fish, the main target of drug treatment, also appeared to be distinguishable from those of healthy fis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