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erties and Utilization of Undigested Peptides in Anchovy Sauces 1. Use of Undigested Peptides as a Quality Parameter of Anchovy Sauces

멸치 액젓 중에 존재하는 미분해 펩티드의 특성과 이용 1. 미분해 펩티드를 이용한 멸치 액젓의 품질 지표 설정

  • CHOI Young Joon (Department of Marine Food Science and Technology/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Se-Hwa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IM Yeong-Su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In-Soo (Department of Food Science 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Dong-Su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 CHO Young-Je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최영준 (경상대학교 수산가공학과 (해양산업연구소)) ;
  • 김세환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 임영선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 김인수 (경상대학교 식품과학과 (해양산업연구소)) ;
  • 김동수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 조영제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8.05.01

Abstract

An objective index for quality estimation of anchovy sauce, our traditional seafood, has been required because inadequate standard causes dispute about quality estimation. Qualities of anchovy sauce made by traditional method and commercial anchor sauce products were compared by investigating their proximate compositions, total nitrogen contents, amino acid contents, development and level of a specific peptide on SDS-polyacrylam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and isoelectric point (pI) of the specific peptide. Also, pIs of IEF were attemped to identify fish species of salt-fermented sauces. The 55,600 and 46,900 dalton of peptide band were identified in all experimental samples. Especially, the area of 55,600 dalton was closely correlated with total nitrogen contents. Also, specific pIs in accordance with fish specie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suggest that correlation between area of 55,600 dalton and total nitrogen contents are used of index for quality estimation, and specific pIs are used of fish species identification.

액젓의 객관적인 품질평가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방법에 따라 발효 숙성시킨 멸치 액젓과 시판 멸치 액젓의 일반성분, 총질소량, 아미노산 함량, SDS-PAG전기영동을 통한 특정 펩티드의 면적을 측정하였고, 아울러 액젓 원료어의 판정을 위해 등전점 전기영동을 시도하였다. 멸치 액젓의 수분 함량은 대조구가 가장 낮은 $60.5\%$였으며, 시판 제품은 $65.5\%\~69.2\%$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총질소 함량은 시판 제품간에 비교적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액젓에 잔존하는 단백질의 함량은 Y사의 제품이 비교적 높은 $0.353mg/m{\ell}$ 였으며, 나머지 시판 제품은 $0.093mg/m{\ell}\~0.293mg/m{\ell}$의 범위였다 한편 SDS-PAG 전기영동상에서는 J사를 제외한 모든 액젓 제품에서 분자량 55,600 및 46,900 dalton의 band가 검출되었으며, 전기영동상에 나타난 단백질 band는 제조회사에 관계없이 거의 비슷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등전점 전기영동에서 멸치 액젓은 등전점 5.6에 해당하는 펩티드가 공통적으로 존재하며, 특징적인 band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아미노산 및 저분자 질소 화합물의 첨가 여부가 정량적인 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전기영동 상의 특정 band의 면적비를 측정함으로서 인위적인 질소화합물의 첨가, 액젓 희석 여부 판정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전 질소 함량, 아미노산 함량 및 SDS-PAG 전기영동 상에 있는 특징적인 55,600 dalton에 해당하는 펩티드 면적비의 상관관계는 멸치 액젓의 품질판정을 위한 기준으로 활용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