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servation of the Mourning Clothes from the Kyonggi Provincial Museum

경기도 박물관 소장 상복에 대한 보존처리

  • Bai, Sang-kyoung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Col. of Home Ecology Univ. of Suwon)
  • 배상경 (수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직물학과)
  • Published : 1998.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performance of mourning clothes from Konggi Provincial Museum, to identify the fiber of these clothes, and investigate the washing effect by wet cleaning. Shapes of mourning clothes were studied, and some ingredients of non fibrous extracted matter were analyzed by FT-IR spectroscopy to clarify the performance of mourning clothes. Microscope examination, melting test, and stain test were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fiber. SEM was used to confirm the effect of washing after mourning clothes washed by wet cleaning added anionic detergent, sodiumdodecylbenzenesulfonate (LAS). The performance of these clothes was mourning cloth, not mummy cloth as results of analyses to the clothes' shapes and extract ingredients. The extract ingredients were carbohydrate, alkyl alcohol, and aldehyde. They didn't have any nitrogen compounds and fatty acids. The fiber identification showed this fiber was hemp. The effect of washing was high as the surface of fiber was clean and linear after wet washing.

경기도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상복의 용도를 의복의 형태와 FT-IR 분광법에 의한 비섬유질 추출물의 분석으로 조사하였으며, 상복에 사용된 섬유의 감별을 위해서 현미경법, 용해법, 정색법을 적용하였다. 음이온계 세제인 LAS 계 세제를 사용하여 습식세척 후, 전자주사현미경으로 섬유표면에서의 세척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상의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의복의 형태와 비섬유질추출성분 분석 결과 수의가 아니라 상복임이 확인되었다. 비섬유질 추출성분들은 탄화수소계, 알킬 알콜, 알데히드로 수의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높은 지방산과 질소화합물들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섬유 감별 결과 섬유의 종류는 삼베였다. 세척후의 섬유 표면이 세척 이전의 섬유표면에 비해서 매끄럽고 이물질의 부착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 세척 효과는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