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체질(四象體質) 유형(類型)과 지문(指紋), 손바닥문(紋)의 관련성(關聯性)에 대(對)한 연구(硏究)

A Morphological Study of Fingerprints and Palm Prints in Sasang Constitution

  • 박성식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
  • 최재영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민석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 김이석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 이제만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 이경애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조규선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지영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
  • 박은경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 Park, Seong-sik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
  • Choi, Jae-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
  • Chung, Min-suk (Department of Anatom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Yi-suk (Department of Anatom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Je-man (Department of Anatom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Kyung-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
  • Cho, Gyu-s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
  • Lee, Ji-young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
  • Park, Eun-kyung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 발행 : 1998.08.31

초록

1. 연구배경 : 사상체질의학에서 체질의 진단은 매우 중요하다. 전체적이고 직관적으로 제시된 동의수세보원의 체질진단 방법을 객관화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신체 각 부위의 형태학적인 연구를 통하여 사상체질 유형을 가려내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는 생체 계측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체질인류학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인 지문과 손바닥문의 분석 방법이 사상체질 유형을 가려내는 데 얼마나 도움 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2. 방법 : 특별한 질병이 없는 한국사람 347명(남자 241명, 여자 106명)에게 설문지 I 형과 QSCCII를 실시하여 두 가지 방법에서 같은 체질로 진단된 208명(남자 142명, 여자 66명)의 지문과 손바닥문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삼교차점의 수에 따라 지문의 유형을 분석하였고, 지문의 중심에서 삼교차점까지 직선을 그어서 만나는 피부능선의 수를 세었다. 각 손가락의 몸쪽에 있는 손바닥문의 삼교차점에서 일어나는 피부능선을 추적하여 손바닥문의 유형을 분석하였고, 손바닥문의 삼교차점 사이에 직선을 그어서 만나는 피부능선의 수를 세었다. 그리고 손바닥문의 삼교차점이 이루는 atd각도를 측정한 후 사상체질 유형과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3. 연구결과 및 결론 : 208명의 사상체질 유형은 태음인 76명(36.5%), 소음인 81명(39.0%), 소양인 51명(24.5%)이었고, 지문과 손바닥문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지문의 유형은 태음인을 가려내는 데 도움이 되었고, 손바닥문의 유형은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을 모두 가려내는 데 도움 되었다. 특히 손바닥문 유형은 소양인과 소음인을 가려내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또한 지문과 손바닥문의 피부능선수는 소양인을 가려내는 데 도움 되었다 . 지문과 손바닥문은 사상체질 유형마다 특징적인 경향이 있으므로 사상체질 유형을 가려내는 데 도움이 도움 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본 연구자는 더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지문과 손바닥문 그리고 손금을 함께 관찰하여 보고할 예정이다.

1. Background :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divides mankind into Taeyangin(太陽人), Taeumin(太陰人), Soyangin(少陽人) and Soeumin(少陰人) according to appearance, moral nature and characteristic of constitutional symptoms, and it is a medical science to study about different treatment for each constitution.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diagnosis of constitution was so important that we had the necessity of studying constitutional diagnostic method which had presented wholly and intuitively in Dongyi Soose Bowon(東醫壽世保元) with objective and analytic thinking. There were several attempts to classify Sasang Constitutional Types through morphological investigation of each parts of body. The one of them was to use measuring the body. In this study, we purposed to make clear whether the analysis of fingerprints and palm, one of the physical anthropologic methods would be helpful to classify Sasang Constitution. 2. Method : After practicing Questionnaire I and QSCC(Questionnaire of Sasang Constitution) II from 347 healthy Korean adults(242 males and 106 females), we analyzed fingerprints and palm prints of 208 people(142 males and 66 females) who were classified same constitution from two questionnaires. We analyzed the types of fingerprin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riradius and counted the number of dermal ridges from fingerprint center to triradius. We found triradius in the lower part of each finger and analyzed the courses of dermal ridges and counted the number of dermal ridges between each triradius. We mesured angle atd, and then researched relationship between fingerprints, palm prints and Sasang Constitution. 3. Result and Conclusion : The results of Sasang Constitution analysis of 208 Korean adults showed 76 Taeumin(36.5%), 81 Soeumin(39.0%) and 51 Soyangin(24.5%). The analytic results of fingerprints and palm prints are as follows : The types of fingerprints were helpful to sort Taeumin and the types of palm prints were helpful to sort Soyangin and Soeumin especially. In addition, the number of dermal ridges in fingerprints and palm prints were helpful to sort Soyangin. Fingerprints and palm prints have characteristic in each constitutions, so the investigation of fingerprints and palm prints seems to helpful to classify Sasang Constitution. We are planning to report fingerprints and palm prints of more subject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한의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