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age of Black Rice using Flexible Packaging Materials

유연성 플라스틱 포장재를 이용한 흑미의 저장

  • Kim, Jong-Dae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Kwan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Eun, Jong-Ba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종대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 김관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 은종방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9.02.28

Abstract

The quality change of black rice during storage at $20^{\circ}C$ was measured to determine a packaging material for black rice storage, using polyethylene film (PE), polypropylene film (PP) and laminated film with PE and PP (PE/PP). Water activity of black rice was 0.642 at initial time and changed little in 8 months during storage at $20^{\circ}C$. Acidity of black rice was 25 mg KOH at initial time and was the lowest, 33.16 mg KOH, within PE/PP of 0.10 mm in thickness in 8 months during storage at $20^{\circ}C$. L, a and b values, hunter color value of black rice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in all packaging materials during 8 month storage. Hardness of the black rice was increased a little, but changed the smallest in PF/PP and the largest in PE with 0.05mm in thickness in 8 months. During storage, hexanal content was increased the smallest in PE/PP and the largest in 0.05 mm PE. Among fatty acid of black rice, linoleic acid was changed the smallest in PE/PP and the largest in 0.05 mm PE. In conclusion, PE/PP was better for the storage of black rice than PE and PP.

흑미(흑진주벼)를 PE와 PP 그리고 PE와 PP를 적층한 필름을 이용하여 포장한 후 $20^{\circ}C$에 저장하면서 흑미의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품질 측정은 수분활성도, 지방산도, 저장 중 무게변화, 색도변화, 경도변화, Hexanal 생성량, 지방산의 변화등을 측정하였다. 수분활성도는 초기 0.642이였는데 저장 8개월까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지방산도는 포장재가 두꺼울수록 적게 변하였고, PE보다는 PP가 적게 변했지만 PE/PP 접착필름이 가장 적게 변하였다. 색도의 경우 초기 L, a, b값이 각각 15.6, 5.2, -1.6이였는데 저장 8개월까지 L값이 약간 증가했으나 포장재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초기 색도와도 거의 차이가 없었다. 경도도 초기 값보다 약간 증가했으며 PE와 PP를 적층한 포장재로 포장된 시료가 저장 8개월 후에 가장 변화가 적었으며 0.05 mm PE가 가장 많이 변하였다. Hexanal의 생성량은 PE와 PP를 적층한 것이 가장 적었으며 0.05 mm PE가 가장 많았다. 또한 지방산중 linoleic acid의 변화량도 PE와 PP를 접착한 필름이 가장 적었으며 0.05 mm PE가 가장 많았다. 전반적으로 가장 양호한 포장재는 PE와 PP를 적층한 필름이었으나 포장재간의 차이는 적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