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of Oligosaccharide and Free Amino Acid in Soy Yogurt Fermented with Different Mixed Culture

혼합균주를 이용한 대두유의 발효에 따른 당 및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 Kim, Cherl-Hyun (Institute of Dairy Foods Research, Seoul Dairy Cooperative) ;
  • Shin, Yong-Kook (Institute of Dairy Foods Research, Seoul Dairy Cooperative) ;
  • Baick, Seung-Chun (Institute of Dairy Foods Research, Seoul Dairy Cooperative) ;
  • Kim, Soo-Kwang (Institute of Dairy Foods Research, Seoul Dairy Cooperative)
  • Published : 1999.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ligosaccharide and amino acid utilization by mixed cultures during soy yogurt fermentation. Three types soy yogurt were prepared by fermenting with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and Saccharomyces uvarum,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Saccharomyces uvarum. The utilized amount of oligosaccharide and amino acid was determined by HPLC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The oligosaccharide and amino acid utilization efficiency of S. thermophilus and Sac. uvarum was greater than the other mixed cultures. It was found that Sac. uvarum produced enzymes which can convert oligosaccharide and common sugars in soy milk into glucose, galactose and fructose which can be fermented by L. acidophilus and S. thermophilus, and in turn stimulated acid production and amino acid utilization of the latter.

대두는 여러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가격이 저렴한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이다. 그러나 특유의 대두취와 난소화성으로 인해 소비가 제한되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혼합유산 균주 및 효모첨가에 따른 배양시간대별 당이용성 및 아미노산 변화를 측정하여 대두유내 당류와 아미노산들이 혼합균주에 의해 이용되는 경향과 이에 따른 산생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S. thermophilus와 Sac. uvarum로 발효된 처리구가 pH 4.45, 산도 0.86으로 산생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대두내 당 이용성을 측정한 결과 L. acidophilus와 S. thermophilus로 발효된 처리구는 대두올리고당의 이용성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낮았고, Sac. uvarum과 혼합발효된 처리구들의 당이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Sac. uvarum과 혼합배양하였을 경우 Sac. uvarum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해 대두내 과당류로부터 분해된 단당류를 유산균들이 이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각 혼합균주의 아미노산 이용성에 있어서도 Sac. uvarum으로 혼합발효된 처리구가 유산균만을 혼합한 처리구에 비해 지속적인 아미노산 이용효율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유산균과 효모의 서로 다른 단백질가수분해능에 의한 상호 보완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