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형암의 뇌전이시 방사선치료 효과

The Role of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Brain Metastasis

  • 이순남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주미순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경자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남은미 (삼성서울병원 내과)
  • Lee Soon Nam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Choo Mi-Soon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Lee Kyung-Ja (Departments of Radiation Oncology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Nam Eunmi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ung Kyun Kwan University, Samsung Medical Center)
  • 발행 : 1999.12.01

초록

배경 및 목적 : 고형암의 뇌전이는 20$\~$40$\%$의 암환자에서 발생하고, 뇌전이 후 1년 생존율은 15$\%$정도로 예후가 불량하며 고식적 방사선치료 등에 의하여 70$\~$90$\%$의 환자에서 증상이 호전되나 대부분의 환자가 결국은 뇌전이로 인하여 사망하게 된다. 이에 고형암의 뇌전이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임상양상과 생존기간을 분석하고 예후인자를 파악하였다. 방 법 : 대상환자는 1987년 1월부터 1998년 1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부속병원에서 고형암의 뇌전이로 고식적 전뇌 방사선치료를 받은 71예이었다 대상 환자의 중앙연령은 63세(24$\~$89세)였고 남자 50예, 여자 21예이었다. 고식적 치료 후 신경증상의 호전정도를 평가하고, 연령, 종양의 원발병소, 진단당시 뇌전이 동반 유무, 타장기 전이 유무, 뇌전이 병변 수, 치료방법에 따라 생존기간을 비교하였다. 결 과 : 뇌전이시 동반된 증상은 두통이 34예로 가장 많았으며 근력 약화 29예, 오심 구토 및 의식 변화 각 14예, 시력장애 8예, 구음장애 7예 순이었고 치료 후 신경증상의 호전은 64.9$\%$에서 관찰되었다. 뇌전이의 치료로 전체환자 중 7예에서는 뇌전이의 수술적 제거 후 전뇌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나머지 64예는 전뇌 방사선치료만을 받았다. 전체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16주였고 1년 생존율은 IS.0%, 2년 생존율은 5.1$\%$였다. 타장기 전이가 없이 뇌전이 단독인 군(n=27)의 중앙생존기간은 33주로 타장기 전이가 있는 군의 10주에 비해 길었다(p=0.0018). 뇌전이 수가 단일 병소인 37예의 환자에서는 수술적 제거 후 방사선치료를 한 군(n=7)의 중앙생존기간이 40주로 방사선치료만 시행한 군의 16주에 비해 길었다(p=0.0438). 이 외에 연령, 원발암의 종류, 전신수행 상태, 진단당시 뇌전이 동반 유무, 뇌전이 병변 수에 따른 생존기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고형암에서 뇌전이는 나쁜 예후인자이나 뇌로의 단독전이는 타장기 전이 동반에 비해 예후가 양호하므로 수술적 절제, 방사선치료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 보다 적극적인 치료로 생존율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Brain metastases are the most frequent metastatic neurologic complication of systemic cancer. Even if the prognosis of brain metastases is grave, with available treatments, most patients experience effective palliation of neurologic symptoms and meaningful extension of life. We evaluated the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tic factors of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solid tumors with brain metastasis and received radiotherapy for brain metastas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1987 and January 1998, 71 patients with brain metastases from solid malignancy were included. We reviewed neurologic symptoms and signs of patients and evaluated improvememt of neurologic symptoms and signs. Survival durations after brain metastasis were ana lysed according to several factors such as age, performance status, primary malignancies, the pre-sence of brain metastasis at initial diagnosis of primary tumor, multiplicity of brain metastass, the presence of metastases other than brain, and treatment method. Results: Frequent symptoms associated with brain metastasis were headache (47.9$\%$), motor weakness (40.8$\%$), nausea and vomiting (19.7$\%$) and mental change (19.7%). Palliation of these symptoms was accomplished in 64.9$\%$ of cases. The overall median survival time was 16 weeks and 1- and 2-year survival rates were 15.0$\%$ and 5.1$\%$ respectively. Patients without extracranial metastases (n=27) had longer median survival than patients with extracranial metastases (33 weeks vs 10 weeks, p=0.0018). In patients with single brain metastasis (n=37),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longer in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plus radiotherapy than in patients treated with radiotherapy alone (40 weeks vs 16 weeks, p=0.0438). Conclusion: Patients who has brain metastases only constitute a prognostically favorable group and they may be benefited from radiotherapy and surgery if indicat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