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뇨검사(Urinary mass screening) 방법으로 단백뇨와 혈뇨의 동시검사가 가지는 진단적 가치에 대한 연구

A study of Diagnostic Significance of Simultaneous Examination of Proteinuria and Hematuria in the Urinary Mass Screening

  • 김영균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소아과학교실) ;
  • 이종국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소아과학교실)
  • Kim, Young-Kyoun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Chong-Guk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1999.05.01

초록

목 적 : 신질환의 조기 진단을 위한 집단뇨검사 방법으로 단백뇨와 혈뇨검사를 동시에 시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집단뇨검사에서 잠혈검사 추가가 가지는 진단적 의의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및 대상 : 1차 선별검사는 전국 33개교 26,508명의 고등학교 1년생(16세군)을 대상으로 하였고 정밀검사는 서울시 1개교 875명의 고등학교 1년생(16세군)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방법은 1997년 8월부터 12월까지 4개월간 한국 건강관리 협회와 공동으로 학교에서 무작위로 채취된 소변을 Combur-10 $N^{(R)}$ M (Boehringer Mannheim, Germany)검사지로 단백뇨, 혈뇨, 농뇨, 아질산염 등을 검사하였다. 양성자의 기준은 단백뇨, 혈뇨, 농뇨가 $1^{+}$ 이상인 경우와 아질산염에 양성반응이 나오는 경우로 정하였다. 실제 신질환의 감별을 위한 정밀검사는 1차 집단뇨검사 양성자를 대상으로 본원에서 실시하였다. 결 과 : 1) 1차 집단검사 결과에서 단백뇨 유병율은 $0.73\%$, 혈뇨 유병율은 $2.69\%$, 농뇨 유병율은 $0.23\%$ 그리고 아질산염 유병율은 $0.03\%$로 조사 되었다. 2)서울지역 1개교(875명)선별 정밀검사 결과: 1차검사 단백뇨 양성자 8명($0.91\%$)중 1명은 기립성 단백뇨, 나머지 7명은 일시적 단백뇨로 확인되었다. 1차검사 혈뇨 양성자는 41명($4.86\%$)이었고 이중 재검이 가능했던 33명중 6명만이 지속적인 혈뇨 양성자였고, 다시 시행한 정밀검사에서 한명만이 무증상 단독 혈뇨증으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5명은 정상이었다. 1차 소변검사 이상자 52명에 대한 혈액검사 및 초음파검사는 모두 정상이었다. 1차검사에서 혈뇨 양성자 33명중 1명(약$3\%$)만이 신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였고 나머지 32명($91\%$)은 정상이었다. 결 론 : 1) 혈뇨검사는 위양성이 높기 때문에 ($97\%$) 집단뇨검사에 포함시킬 경우 불필요한 시간과 경비의 낭비가 있을수 있다고 생각된다. 2) 집단뇨검사는 검사 기관에 따라 얻어지는 결과의 차이가 심하기 때문에 단일 기관으로 통합 관리해야 할 것이다. 3) 요로감염증의 선별검사에서 농뇨와 아질산염 검사는 양성율이 낮으므로 그 효용성에 대한 연구는 좀더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diagnostic significance of simultaneous examination of hematuria and proteinuria in the urinary mass screening for early detection ot incipient renal diseases. Method and Object : During the period of 4 months from August to December in 1997, we did urinary mass screening on students of first grade of high school (16 years aged group) nationwide together with Korean Association of Health(KAH). In the first screening test, Comber-10 $N^{(R)}$ M dipsticks were used to detect proteinuria, hematuria, pyuria and nitrite simultaneously. Total 26,508 students (16 years aged group) from 33 high schools in every province in Korea, respectively, complied to the urinary mass screening. After then, one high school in Seoul was selected to reveal the true incidence of incipient renal diseases among students who showed hematuria in the initial screening through intensive examinations. Those who had hematuria and/or proteinuria visited the Paik hospital, and underwent blood tests and ultrasonographic examinations. The results were evaluated. Results 1) The initial screening revealed that the prevalence of proteinuria, hematuria, pyuria and positive nitrite urine, were $0.73\%,\;2.69\%,\;0.23\%\;and\;0.03\%$, respectively. 2) The first urinary screening among 875 students from one high school in Seoul selected fir the second test showed proteinuria, hematuria, pyuria and positive nitrite urine, were $0.91\%,\;4.68\%,\;0.34\%\;and\;0\%$, respectively. a) Total 8 among 875 students showed proteinuria, but one of them had orthostatic proteinuria and those remaining 7 students had transient proteinuria. b) There were 41 students who had hematuria in the initial screening. Among 33 who complied the second test, only one student showed asymptomatic isolated hematuria and those remaining students were normal. Conclusion : 1) Because of high false positive hematuria rate in the urinary mass screening, it dosen't seem to be appropriate that hematuria screening using dipsticks be included in the urinary mass screening. 2) A unified organization is needed from the fret that so various results of urinary mass screening came out. 3) Positive rates of pyuria and nitrite were so low that validity of urinary mass screening for urinary tract infection needs more stud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