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Land Development Administration System in the Local Self-Government

지방자치단체의 토지개발사업에 관한 고찰

  • 황의진 (한려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1999.06.30

Abstract

Since 1980 the Korea Land Development Coporation has played a major role in land development by means of a Public Initiated Land Development Scheme. This strategy has attempted to correct the market failure of the generation of large sum of windfall profits. In accordance with reimplementation of the local autonomous ruling system since 1991, the demend for local government initiated land development have increased rapidly as local governments attempt to math the influence of national local development policy. In this regards, it is very useful for urban planners to analyze the merits and dismerits of the local government initiated land development schemes in view of national agency's development. This paper recommends several mitigation measures to improve the settlement of the local government initiated land development scheme.

최근 우리나라의 토지문제가 야기된 원인은 무엇이며, 그 해결책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토지문제가 발생하는 근본원인으로서 대체로 토지자원(특히 우리나라의 토지문제를 거론하면서)의 한계성을 지적하다. 지방공영개발은 지방자치단체가 사업의 주체가 되어 토지개발과 주택건설이 임무를 시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의 장점은 종래처럼 한국토지공사가 택지만 개발하고, 대한주택공사가 주택만 건설하는 데서 빚어진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간의 잦은 시비와 마찰이 지역주민들에게 곧 지역불만으로 이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지방공사나 지방자치단체가 택지개발, 주택건설 및 공공시설의 공급 등을 일원화할 수 있게 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