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부 장착형 3차원 영상 표시장치에 의한 가상환경 노출이 인체에 미치는 가상환경 멀미의 평가

An Appraisement of Cybersickness by Exposuring to Virtual Environment Using Head Mounted Display

  • 김동욱 (서남대학교 보건학부 의용공학과) ;
  • 김남균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생체공학과) ;
  • 박광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발행 : 1999.10.01

초록

가상현실 기술의 발전 및 보급에 따라 컴퓨터 게임을 비롯하여 의료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에서 사용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사람들의 경우도 가상환경을 손쉽게 체험할 수 있어, 가상환경 노출에 따른 인체의 영향을 심각히 고려해야할 상황에 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부장착형 3차원 영상표시장치에 의한 가상환경 노출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중 가상환경 멀미에 주안점을 두어, SSQ검사 및 신체동요도 측정을 통하여, 가상환경 멀미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키워드

참고문헌

  1. Comput Biol Med v.25 no.2 An inventory of computer resources for the medical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Pinciroli,F.;Valenza,P.
  2. Proceeding of the 29th International Applied Military Psychology Symposium Human prfomance in virtual environments: initial experiments Knerr,B.W.;lampton,D.R.;Bliss,J.P.;Moshell,J.M.;Blau,B.S.
  3. 耳鼻臨床, 補41 動搖炳と嘔吐のメカニズム 武田憲昭
  4. Transactions of the Virtual Reality Society of Japan v.3 no.2 The presents situation of the studies in VE-Sickness and its close field Chizuru Nakagawa;Meiko Ohsuga
  5. Physiological Review v.29 no.10 Motion sickness Tyler,D.B.;Bard,P.
  6. International Journal of Aiation Psychology v.3 no.3 A 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 (SSQ): A new method for quantifying simulato-sickness Kennedy,R.S.;Lane,N.E.;Berbaum,K.S.;Lilienthal,M.G.
  7. Stereoscopic and Monoscopic Displays in Virtual Environments(ARI Technical Report) Ehrlich,J.;Singer,M.J.;Cinq-Mars,S.
  8. Presence v.1 no.3 Profile analysis of simulator sickness symptoms: Applications to virtual reality systems Kennedy,R.S.;Lane;N.E;Lilienthal,M.G.;Berhaum,K.S;Hettinger,L.J.
  9. Physiological Reviews v.50 no.1 Motion sickness Money,K.E.
  10. Presence v.1 no.3 Will simulation sickness slow down the diffusion of virtual environment technology Biocca,F.
  11. Safe Journal v.25 no.1 Gender differences in simulator sickness incidence: Implications for military virtual reality systems Kennedy,R.S.;Lanham,D.S.;Massey,C.J.;Drexler,J.M.;Lilienthal,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