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shaded apodizer on the read-out signal in an optical dise system

Shaded apodizer가 광학 디스크 시스템의 wotodf 신호에 미치는 영향

  • 박성종 (순천청암대학 안경광학과) ;
  • 심상현 (정인대학 안경광학과 a 정창섭)
  • Published : 1999.12.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haded apodizer on the read-out signal in an optical disc system, we consider the is apodizer in which the amplitude transmittance decreases gradually from the center of pupil toward its edge and the iH apodizer in which the amplitude transmittance increases gradually from the center of pupil toward its edge, using the scalar diffraction theory. We also consider the bump shapes which are a cylindric, a semi-conic, and a conic bump, and bump height which is given by $\lambda/4$ and occurs to the phase change $(\pi)$). The read-out signal of is apodizer increases from S = 0 upto maximum value, and then decreases for increasingly larger values of bOo While the iH apodizer has two maximum values. When an optical disc system has a spherical aberration $(W_{40}=0.5\lambda)$, the maximum read-OUt signal of is apodizer is higher than that of iv apodizer which has no apodizer.odizer.

본 연구에서는 shaded spodizer가 광학 디스크 시스템의 재생신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동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진폭이 단조 감소하는 shaded spodizer와 진폭이 단조 증가하는 shaded spodizer를 스칼라 회절 이론을 사용하여 고려하였다. 또한 bump 형태 변화에 따른 재생 신호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원통형, 준원추형, 그리고 원추형 bump를 고려하였으며, 이때 bump의 높이는 $\lambda/4$로서, 위상 높이가 $\pi$가 되도록 하였다. 동의 중앙에서 가장 자리로 갈수록 진폭이 단조 감소하는 shaded spodizer의 경우에는 bump 반경이 증가함에 따라 재생 신호가 증가하여 극대값을 가진 후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진폭이 단조 증가하는 shaded spodizer의 경우에는 bump 반경이 작은 영역과 큰 영역에서 극대값을 갖는 특성을 나타냈다. 도한 구면수차를 0.5λ 포함하는 광학 디스크 시스템의 경우 진폭이 단조 감소하는 shaded spodizer의 최대 재생 신호가 spodizer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최대 재생 신호보다 크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JOSA v.69 H.H.Hopkins
  2. Appl. Phys. Lett. v.42 M.Nagashima
  3. Jpn. J. Appl. Phys. v.36 C.W.Lee(et al.)
  4. 제7회 광기술 워크삽 논문집 박성찬(외 6명)
  5. Appl. Opt. v.33 I.Kawakubo;J.Funazaki;K.Shirane;A.Yoshiza
  6. Jpn. J. Appl. Phys. v.36 K.Yamanoto;K.Osato;I.Ichimura;F.Maeda;T.Watanabe
  7. Jpn. J. Appl. Phys. v.32 K.Yasuda;M.Ono;K.Aratani;K.Fukumoto;M.Kaneko
  8. Jpn. J. Appl. Phys. v.32 O.Ohkudo;M.Okada;M.Murahata;T.Ide;T.Iwanaga
  9. Jpn. J. Appl. Phys. v.32 H.Ooki;R.Arimoto;Y.Iwasaki;J.Iwasaki
  10. Appl. Phys. Lett. v.66 Y.Wu;Y.B.M.Noor
  11. Appl. Opt. v.34 T.Tanabe
  12. Jpn. J. Appl. Phys. v.35 N.Shinoda;K.Kime
  13. J. Mod. Opt. v.42 C.S.Chung;H.H.Hopkins
  14. SPIE v.2778 S.J.Park;S.H.Sim;C.S.Chung
  15. J. Korean Phys. Soc. v.32 S.J.Park;C.S.Chung
  16. J. Opt. Laser Tech. v.30 S.J.Park;C.S.Chung
  17. SPIE v.3578 S.J.Park;S.H.Sim;C.S.Chung
  18. Proc. of CELO/Pacific Rim'99 v.2 S.J.Park;Y.C.Lee;S.H.Sim;C.S.Ch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