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parison of Chemical Compounds in Korean and Chinese Sesame Seeds"

한국산 및 중국산 참깨의 화학성분 비교

  • Published : 1999.06.01

Abstract

Sesame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Korean variety cultivated in Chochiwon City of Korea (KvKc), Chinese variety cultivated in Jilin Province of China(CvCc), Chinese variety cultivated in Chochiwon city of Korea(CvKc) and Korean variety cultivated in Jilin Province of China(KvCc). The extraction yields of sesame oils from KvKc, CvCc, CvKc and KvCc were 47.8%, 48.1%, 48.6% and 49.3% respectively. The color value (L value) of sesame oil from KvKc was lower than that of CvCc and KvKc sesame oil showed dark brown color. The composition of neutral lipid, glycolipid and phospholipid of free lipids from KvKc and U sesame oils were 93.1%, 6.6%, 0.2% and 94.7%, 4.6%, 0.8% respectively. Major fatty acids of KvKc and CvCc sesame were u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oleic and linoleic acid. Total composition of the two major fatty acids of KvKc was 84.6% which was almost same with that of CvCc. However the composition of oleic and linoleic acid of KvKc were 47.1% and 37.5%, while the composition of CvCc were 40.5% and 44.3%. When cross-cultivated, the composition of oleic and linoleic acid of CvKc were 41.0% and 43.5%, while the composition of KvCc were 42.0% and 43.7%. The contents of total amino acids and essential amino acids of KvKc were 713 mg% and 309 mg%, which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CvCc. When cross-cultivated, the content of total amino acids of KvCc was 44% lower than that of KvKc while the content of total amino acids of CvKc was 36% higher than that of CvCc.

한국품종 및 중국품종 참깨를 한국 조치원 및 중국 길림성에서 각각 재배, 수확한 참깨 및 이를 볶아 제조한 참기름을 시료로 하여 화학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참기름의 수율은 한국품종 한국산이 47.8%, 중국품종 중국산이 48.1%, 재배지 교환시는 한국품종 중국산이 48.6%, 중국품종 한국산이 49.3%로 나타났다. 참기름의 색도는 한국품종 한국산이 L값이 다소 낮아 참기름 고유의 암갈색을 띠었다. 참기름의 지방질 조성은 한국품종 한국산은 중성, 당, 인지질의 조성비가 93.1%, 6.6%, 0.2%였고, 중국품종 중국산은 94.7%, 4.6%, 0.8%로 조성면에서 큰 차이는 없었으며, 재배지를 교환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참기름의 지방산 조성은 모두 7개의 지방산을 확인하였으며, 불포화 지방산인 oleic acid 및 linoleic acid가 한국품종 한국산이 84.6%, 중국품종 중국산이 84.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 조성면에서는 oleic acid 및 linoleic acid가 한국품종 한국산은 47.1%, 37.5%인데 비해 중국품종 중국산은 40.5%, 44.3%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참깨의 아미노산 함량은 생시료의 경우 한국품종 한국산이 713mg%로서 중국품종 중국산 238mg%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필수 아미노산 함량 또한 한국품종 한국산이 309mg%로서 중국품종 중국산 99mg%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한편 재배지를 교환시 아미노산 함량은 한국품종 중국산은 한국 재배시보다 44% 정도 감소하였고 중국품종 한국산은 중국재배시 보다 63% 정도 증가하였으며, 시료를 볶음처리했을 경우 아미노산 함량은 한국산 및 중국산 모두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