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Pelagic Environment of Kori, Korea

고리해역 표영환경내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 Published : 1999.03.01

Abstract

Phytoplankton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13 times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1995 to December, 1996 in the coastal area of Kori. A total of 162 taxa (including unidentified species) were observed; 120 diatoms, 3 silicoflagellates, 34 dinoflagellates, 2 euglenoids, 1 chlorophyte and 2 unidentified microflagellates. A diatom species, Skeletonema costatum (Greville) Clove dominated all the year round. The standing stocks of phytoplankton ranged from 94 cells/ml in August to 1059 cells/ml in July. The peaks of standing stocks occurred in February and July. The effects of thermal effluent to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changed seasonally and might affect increasing the standing stocks where about 1 ∼ 3 km from the discharge of Kori Nuclear Power Plant in autumn and winter. But the effects of thermal effluent must be negative in summer.

고리원전 주변 해역에서 1995년 1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총 13회의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식물플랑크톤은 총 162개 분류군(미동정종 포함)이 출현하였으며 그중 규조류가 총 120종이 출현하여 가장 많은 종수를 보였고 규질편모류 3종, 와편모조류 34종, 유글레나조류 2종, 녹조류 1종, 기타편모류 2종 등이 출현하였다. 규조류 종인 Skeletonema costatum은 연중 우점종으로 기록되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월 평균값 변화는 최저 94 cells/ml(8월)에서 최고 1059 ce11s/m1(7월)에 이르며 2월과 7월에 현존량의 peak가 나타났다. 고리원전 주변해역에서는 온배수에 의한 영향이 계절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겨울과 가을철에 한하여 1∼3 km의 수역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증가가 일어 날 수 있음을 나타내었고 여름철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온배수의 영향이 상당히 부정적임을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0 한국 연안해역에 있어서 온배수 배출의 생태학적 영향. II. 고리원자력 발전소 냉각계통 통과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변화 심재형;여환구
  2. 한국해양학회지 v.26 한국 연안해역에 있어서 온배수 배출의 생태학적 영향. I. 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미소 및 초미소 자가영양 플랑크톤의 중요성 심재형;여환구;신윤근
  3. 온배수 유출해역 일차생산시스템의 환경생물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여환구
  4.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6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 냉각계통 통과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영향 여환구;김만근
  5.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0 한국 연안해역에 있어서 온배수 배출으 생태학적 영향. III. 고리 원자력 발전소 부근 해역 무생물 환경과 일차생산자의 군집구조 여환구;심재형
  6.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1 한국 연안해역에 있어서 온배수 배출의 생태학적 영향. IV. 고리원자력발전소 부근 해역 일차생산자의 생물량과 생산력 여환구;심재형
  7.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4 고리해역 표영생태계내 비생물환경요인과 일차생산 변동 여환구;심재형;박종규
  8. 해양연구소보 v.4 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부유성 규조류에 관하여 유광일;이진환
  9. 한국 연안 발전소 주변의 해양환경과 생물상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이정호
  10. 원자력발전소 온배수가 식물플랑크톤의 생태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조기창
  11. 영광원자력 5,6호기 건설사업 환경영향 평가서 한국전력공사
  12. Mar. Ecol. Prog. Ser. v.143 Long-term distribution patterns of mobile estuarine invertebrates(Ctenophora, Cnidaria, Crustacea: Decapoda) in relation to hydrological parameters Attrill MJ;RM Thomas
  13. J. Oceanol. Soc. Kor. v.7 Studies on the seasonal variations of plankton organisms and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in the coastal area of Kori Choe S
  14.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in Geology Davis JC
  15. Inform. Bull. Plankton Jap. v.12 Diatoms in the Kuroshio waters neighbouring Japan Kawarada Y
  16. Proceedings of Symposium on the Kurochio:40-61 Plankton of the Kuroshio water Motoda S;R Marumo
  17. J. Oceanogr. Soc. Jap. v.34 The thermal effects of cooling system of a thermal power plant on photosynthesis of marine phytoplankton Takesue K;A Tsuruta
  18. Preservation and storage Phytoplankton Manual Throndsen J;Sournia A(ed.)
  19. Dis. Aquant. Organ. v.26 Gonadal impairment in roach Rutilus rutilus from Finnish coastal areas of the northern Baltic Sea Wiklund T;L Lounasheimo;J Lom;G Byl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