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1996 Mass Mortality of Macrobenthic Animals in Cheju Island: A Possible Role of Physical Oceanographic Factor

1996년 제주도에 나타난 대형저서동물의 대량폐사: 물리해양학적 요인의 역할

  • 서해립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해양연구소) ;
  • 조양기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해양연구소) ;
  • 서호영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해양연구소) ;
  • 김대환 (제주해양수산청 어촌지도과)
  • Published : 1999.06.01

Abstract

An unprecedented mass mortality of commercially important macrobenthic animals, including Haliotis discus discus, H. diversicolor, Batilus cornutus, Sticopus japonious and Hemicentrotus puzoherrimus, occurred off the west coast of Cheju Island in summer of 1996. Phytoplankton blooms were absent along the coast. The appearances of the surface low-salinity water (SLSW) off the coast of Cheju Island preceded the mass mortality, leading to speculation that the low-salinity stress may have a crucial role in the mass mortality. Since there was no heavy rain for the same period, the precipitation was not a possible explanation for the decrease of salinity. Physical oceanographic data taken by NFRDI (1997) clearly indicated that the SLSW was present in the area between China and Cheju Island in August 1996. This is most likely due to a freshwater supply resulting from the existence of large river runoff. Evidence of the curren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Yangtz River and Cheju Island also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source of the SLSW was the freshwater originated from the Yangtz River runoff.[macrobenthic animals, mass mortality, surface low-salinity water].

1996년 여름 제주도 서쪽 해안에서 전에 볼 수 없을 정도로 유용 대형저서동물이 대량으로 죽어, 전복, 오분자기, 소라, 해삼, 말똥성게에 큰 피해를 주었다. 제주도 해안에서 식물플랑크톤 대발생은 없었고, 대량폐사가 일어나기 전에 해안에서 표층 저염수가 나타났기 때문에 저염분 스트레스가 대량폐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여겨진다. 같은 기간 관측된 강수량이 적어, 강수량으로 저염화를 설명하지 못한다. 국립수산진흥원(1997)이 관측한 자료는 1996년 8월 제주도와 중국 사이 해역에 표충 저염수가 나타난 것을 확실히 보여준다. 제주도 서쪽 해안에 나타난 표층 저염수는 다량으로 유출된 강물이 그 기원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해류와 양자강에서 제주도까지 거리등도 표층 저염수가 양자강에서 방류된 강물에서 기원한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 v.12 한국 남해안 연안수의 계절변동에 관한 연구 강철중
  2. 한국수산학회지 v.29 제주도 주변 용승역의 생물생태학적 기초연구(Ⅰ)제주도 남서부 연안해역의 해수화학적 특성과 용승현상 강태연;최영찬;고유봉
  3. 한국해양학회지 v.6 한국 남해안 전선에 관한 연구 공영
  4. 한국 근해 평년 해황도 국립수산진흥원
  5. 해양조사연보 국립수산진흥원
  6. 기상월보(1996년 6월) 기상청
  7. 기상월보(1996년 7월) 기상청
  8. 한국해양학회지 v.26 하계 제주도 주변 해역의 수계및 해수순환 김구;노흥길;이상호
  9. 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 v.25 제주해협내 해류에 관한 연구 김복기
  10. 바다 v.3 1996년 여름철 남해 표층수의 이상저염수 현상과 영양염류의 분포특성 김성수;고우진;조영조;이필용;전경암
  11. 제주도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중국대륙연안수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김인옥
  12. 한국 연안의 적조-최근 적조의 발생원인과 대책 김학균;이삼근;안경호;윤성화;이필용;이창규;조은섭;김정배;최희구;김평중
  13. 한국해양학회지 v.18 제주와 목포, 제주와 완도간의 표면수온변화 노흥길;김구
  14. 한국양식학회지 전복, 소라 오분자기 치패의 생존에 미치는 고수온, 저염분수의 영향 원승환;한석중
  15. 천해양식 유성규
  16. 한국해양학회지 v.29 여름철 남해 저온수의 특성과 기원 조양기;김구
  17.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v.7 여름철 남해의 저염화와 수송량 조양기;김구;노흥길
  18. La mer v.30 Lagrangian flow observations in the East China, Yellow and Japan Seas Beardsely RC;R Limeburner;K Kim;J Candela
  19. Stress Effect on Natural Ecosystems Responeses to stress in marine benthic communities Boesch DF;R Rosenberg;Barett GW(ed.);R Rosenberg(ed.)
  20. J. Oceanol. Soc. Korea v.30 Hydrography and sub-tidal current in the Cheju Strait in spring, 1983 Chang KI;K Kim;SW Lee;TB Shim
  21. Mar. Pollut. Bull. v.20 Increased eutrophication of the northern Adriatic Sea: second act. Degobbis D
  22. Mar. Pollut. Bull. v.13 Methods for monitoring offshore macrobenthos Hartley JP
  23. Hydrobiologia v.284 Ostrincola koe(Copepoda, Myicolidae) and mass mortality of cultured hard clam (Meretrix meretrix) in China Ho JS;GX Zheng
  24. Introduction to Physical Oceanography(2nd ed.) Knauss JA
  25. Prog. Oceanog v.17 Summertiom hydrographic features in the southeastern Hwanghae Lie HJ
  26. Health of the Yellow Sea Change of the discharge and sediment flux to estuary in Changjing River Shen H;C Zhang;C Xiao;J Zhu;Hong GH(ed.);J Zhang(ed.);BK Park(ed.)
  27. Oxygen Depletion and Associated Benthic Mortalities in New York Bight, 1976 Historical and regional perspective Sinderman CJ;RL Swanson;Swanson RL(ed.);CJ Sinderman(ed.)
  28. Bull. Korean Fish. Soc. v.21 On the bi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Chinhae Bay in September 1983 Yang DB;JS H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