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 in Ecosystem of Gangjin Bay

강진만 생태계의 환경요인 분석

  • 강성윤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 김두홍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 이우범 (여수대학교 환경공학과) ;
  • 주현수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 이제철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 박종천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Published : 1999.12.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environmental and microbial populations in six stations at water region of Gangjin Bay, nutritive salts, water temperature, COD, DO, pH, heterotrophic bacteria, fungi and facal coliform bacteria were analysed four imes from February to November, 1998. These data were subjected to simpl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principal factor analysis. Ecosystem of Gangiin Bay was regulated by 2∼4 factors during four seasons. We estimated that it was mainly influenced by inflow of fresh water, nutrient salts, suspended solids, salinity and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fluences of environmental factor of Gangiin Bay was relatively less than those of other bays.

강진만의 생태계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1998년 2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주요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영양염류, 수온, 염분도, COD, DO, 종속영양세균, 균류 그리고 분변성 대장균 등의 항목들이 6개의 정점에서 조사되었다. 이들 항목을 상관분석과 주요인분석 등의 통계처리를 한 결과 강진만의 생태계는 계절에 따라 2∼4개의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에서 특히 담수유입에 따른 영양염류, 부유물질, 염분도 및 수온의 변화 등이 강진만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른 만에 비해 강진만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은 비교적 적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육수학회지 v.31 낙동강 하구의 환경요인 및 미생물분포 김원진;이혜주
  2.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6 광양만 생태계의 미생물군집에 관한 환경요인 분석 박종천;이우범;주현수
  3.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진해만 생태계에 있어서 미생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의 분석 안태석
  4.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1 광양만 미생물군집에 관한 환경요인 분석 위인선;전순배;이종빈;나명석
  5. 한국미생물학회지 v.19 진해만의 미생물 분포 최영길
  6.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논문집 광양만 생태계에서 미생물군집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분석 하영칠
  7. 한국환경미생물학회지 v.2 광양만 미생물 군집의 변화에 관하여 홍순우(등)
  8. 농업과 생물학 연구를 위한 통계학적 방법 한원식
  9.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 water(18th ed.) APHA
  10. Appl. Environ. microbiol v.29 Influence of environmental stress on enumeration of indicator bacteria from natural waters Bissonnate GK(et al)
  11. Advences in Auatic Microbiology Baterial indication of water pollution Bonde GJ
  12. Biology of Microoganisms(3th ed.) Microbial activities in nature Brock TD
  13. Appl. Environ. microbiol v.43 diversity dynamics of marine bacteria studies by immunofluoescent staining on membrane filters Dahle AB;M Laak
  14. International council for the exploration of the sea Charlottenland Carberg SR
  15. J. Kor. Wa. Pollut. Res. Cont. v.1 Factor analysis of water quality and ecosystem in Jinhae Bay Hong, SW;Hah;TS Ahn
  16. Appl. environ. Microbial v.38 A computer-assisted microbial identification system Kellog ST
  17. Marine Pollution Bullutin v.32 Influence of water circulation on marine and faecal bacteria in a mussel growing area Marcial LL;VC Guadaupe
  18. J. Appl. Bacteriol v.53 The pollution, characterization and activity of suspended bacteria in the Welsh River Dee Nutall D
  19. J. Appl. Bacteriol v.53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uspended bacteria in the Welsh River Dee Nutall D
  20. Wat. Sci. Tech. v.38 survival and transfer of faecal indicator organisms of waste water effluents in receiving lake waters Rajala RL;H Heinonen-Tanski
  21. Bull. Fish. Res. Bd. Con. no.167 A practical handbook of sea water analysis Strichland JDH;TR Par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