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가 소아의 급성 설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iveness of Antibiotics in Acute Diarrhea of Children

  • Kim, Eun Ju (Department of Pediatrics, Sun General Hospital)
  • 발행 : 1999.11.15

초록

목 적 : 급성 설사는 아동기의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이다. 감염성 설사는 세균보다는 바이러스에 의한 빈도가 높으며 대부분 적절한 수분 공급 및 대증 요법에 의하여 저절로 호전되는 양상을 보인다. 항생제의 사용에 대한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고 실제 임상에서 사용되는 예들이 많으나 그 효과는 확실치 않다. 이에 저자는 소아의 급성 설사에 항생제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8월부터 1997년 7월까지 급성 설사를 주소로 대전 을지대학병원에 입원하였던 124명을 대상으로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은 군 28명 (N군)과 항생제를 사용한 군 96명 (P군)으로 나누어 입원과 발열기간, 구토와 설사의 빈도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입원기간은 P군보다 N군에서 유의 있게 짧았다(P<0.05). 발열과 설사의 기간 역시 N군에서 더 짧았다(P<0.05). 구토와 설사의 빈도는 N군이 P군보다 낮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연령, 성비, 입원 전 설사기간과 입원 당시의 CRP는 두 군간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소아의 급성설사는 원인균에 관계없이 자연 소실될 수 있는 질환으로서 대부분 적절한 수액공급과 영양공급으로 호전될 수 있고 항생제의 사용은 오히려 설사를 악화시킬 수 있으며 동반되는 구토 및 발열기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The beneficial effects of antibiotics in acute diarrhea of children were analysed 10 assess their effectiveness since many physicians use them to treat acute diarrhea. Searching 124 charts of patients admitted from August 1996 to July 1997,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antibiotic negative (N) group of 28 patients and a positive (P) group of 96 patients. The admission period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N group than P group (P=0.0057). Duration of fever and diarrhea were also shorter in N group (P=0.0328 and 0.0184 respectively).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uration of vomit and frequency of diarrheal episodes per day were lower in N group (P=0.7091 and 0.061, respectively). Age, sex, duration of diarrhea before the admission and CRP collected on the day of admission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0.5866, 0.093, 0.3502 and 0.2628 respective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