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With the advancement of internet technology, traditional university libraries are going through metamorphosis into digital libraries. Digital libraries substitute digital files for printed materials, metadata for catalogues, world wide users on the network for localized patrons, while offering limitless possibilities for easy downloading of information. The aim of the study is to present a model for our digital library based on the knowledge auquired from the analysis of the state of the art technology employed in building and managing digital libraries and the management of large quantity of SGML electronic documents. This paper is our belief that the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for university digital libraries are mandatory for an open information society.
종래의 전통적 대학도서관은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라이브러리로 변모하고 있다. 인쇄자료는 국제교환표준문서 표준 디지털 파일로 목록은 메타데이터로 이용자는 네트워크가 접속되는 전세계 이용자로, 자료는 무한정 복사가 가능한 형태로 바뀌고 있다. 국가 정보 하부구조를 위한 대학도서관 디지털 라이브러리 구축은 미래 정보화사회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디지털 라이브러리 기술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기하급수적으로 발생하는 전자문서를 관리하는 문제, ISO에서 문서 교환표준으로 제정한 SGML 문서의 구조 둥 앞으로 추진할 디지털 라이브러리의 모습을 모델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