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6th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Its Implementation

제 6차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과 그 운영에 대한 조사 연구

  • Published : 1999.12.30

Abstract

We have investigated the 6th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its implementation based upon the results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and professors' ratings and self-reportings. The national-wide survey was administrated to obtain the data from 213 teachers of 112 middle schools and 43 professors of colleges of education. The survey items correspond to four stages of science curriculum. In the stage of the planned science curriculum, 'goals', 'framework of contents' and 'contents' are relevant to the basic guideline for curriculum revision, 'the more emphasis on inquiry activities'. However, the amount of contents is not appropriate, and 'methods' are difficult to attain. In the stage of the written science curriculum, 'goals', 'framework of content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s' are not useful for teachers to teach science. In the stage of the implemented science curriculum, a small number of teachers use the issues of local community, organize the different group activities, develop assessment tools cooperatively, and conduct a lesson and a program considering students' diversities. This is partially because of the large amount of learning contents, the lack of materials and the weakness of supporting system. Finally, in the stage of the attained science curriculum, the students' achievements under the 6th curriculum is not higher than those under the other curricula.

전국의 112개 중학교의 213명의 과학 교사들과 43명의 사범대학 교수들의 평정과 자기 보고를 토대로 제 6차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과 그 운영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 문항들은 과학 교육과정의 네 단계와 조사 항목별로 분류되었다. 제 6차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의 계획 단계에서 제 6차 중학교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체계 내용'은 탐구 활동의 강화라는 개정 방침에 비추어 적절하였다. 그러나, 학습 분량은 적정화되지 못하였고, 방법은 제대로 실현되기 어려웠다. 문서화 단계에서 '목표', '내용 체계','내용', '방법', '평가'는 중학교 과학을 지도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기 어려웠다. 시행 단계에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은 지역 사회 문제를 소재로 활용하지 못하였으며, 학습 집단 조직의 다양화, 평가 도구의 공동 개발,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 및 프로그램의 운영을 실천하지 못하였다. 이에는 학습 분량의 과다, 자료의 미비, 지원의 부족 등이 원인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제 6차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의 실현 단계에서, 제 6차 교육과정에 따라 학습한 학생들은 그 이전의 학생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성취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은 1996년 한국과학재단 국제공동연구비 (966-1300-001-2) 지원에 의해 수행된 연구 결과 일부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