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자연 수업에서 브이도와 조절적 메타인지 학습 전략의 효과

The Instructional Influences of Vee Diagram and Regulative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ourse

  • 발행 : 1999.06.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자연 수업에 브이도와 조절적 메타인지 학습 전략을 적용하여, 학업 성취도, 수업 곤란도, 자아효능감, 학습 접근 방식에 대한 교수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브이도와 메타인지 학습 전략은 예비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개발하였다. 사전에 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여 이를 구획 변인으로 사용하였으며, 다른 사전 성취도 점수는 사후 성취도에 대한 공변인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수업 곤란도, 자아 효능감, 학습 접근 방식 검사를 실시하여 이를 사후 점수의 공변인으로 사용하였다. 사후에 연구자가 제작한 학업 성취도 및 위 변인들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전체 학업 성취도에서는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적용 영역에서는 통제 집단에 비하여 두 처치 집단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수업 곤란도와 학습 접근 방식에서는 세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아 효능감에서는 브이도와 조절적 메타인지 전략을 함께 사용한 집단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브이도를 사용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Vee diagram and regulative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upon 6th-graders' achievement, difficulty toward science lesson, self-efficacy, and learning approach. The Vee diagram and regulative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were modified in a pilot study. Before instruction, an achievement test was administered, and its score was used as a blocking variable. A previous science grade was used as a covariate for post-achievement. Tests of difficulty toward science lesson, self-efficacy, and learning approach were also administered, and the test scores were used as covariates. After instruction, a researcher-made achievement test and post-tests of the above variables were administrated. Two-way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hievement test scores, the application subtest scores of the two treatment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fficulty toward science lesson and learning approach, but self-efficacy scores for the students with Vee diagram and regulative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using Vee diagram were also analyz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