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orphology of Dysmorphic Erythrocytes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in Hematuria

혈뇨의 감별진단을 위한 이형적혈구의 형태학적 연구

  • Yoon, Chul-Jong (Division of Path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 Park, Chung-Oh (Department of Medical Technology, Seoul Health College) ;
  • Moon, Hi-Joo (Department of Medical Technology, Seoul Health College) ;
  • Yoon, Ki-Eun (Department of Medical Technology, Seoul Health College)
  • 윤철종 (서울대학교병원 소아병리과) ;
  • 박정오 (서울보건대학 임상병리과) ;
  • 문희주 (서울보건대학 임상병리과) ;
  • 윤기은 (서울보건대학 임상병리과)
  • Published : 1999.09.01

Abstract

Examination of the morphology of red blood cells in the urine has been shown to be a promising adjunct in determining whether hematuria represents glomerular or nonglomerular bleeding. This is due to distortion of RBCs as they Pass across the basement membrane of the glomerular capillaries. It is concluded that is method can greatly help the clinician in distinguishing between glomerular and nonglomerular bleeding in patients with hematuria and channeling such patients toward the most appropriate investigations. We have experimented dysmorphic red blood cells that 5 patients of the hematuria are distorted with irregular outlines and often have small blobs extruding from the red cell membrane. Tried urinary sediments were seen with phase contrast microscope and confirme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re are seen acanthocytes, anulocytes, ghost cells and sphero-echinocytes in dysmorphic erythrocytes. Clinical diagnosis was referred from the result of the biopsy-proven.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of the hematuria are good diagnostic tool that disclose in distorted red blood cells from patients with glomerular disorders.

전체 성인의 약 4%에서 정도 차이는 있지만 혈뇨가 있다고 볼 때 그 원인을 구명하는 일이 중요하다. 그 원인이 사구체성 신염인지 기타 그 외의 비 사구체성 원인에 따른 질환인지를 쉽게 감별하는 일이 중요하다. 본 연구자들은 혈뇨를 동반한 소아과 환자중에서 신 생검 조직검사까지 한 5명의 환자에서 혈뇨를 표본 제작하여 먼저 위상차현미경적 표본제작법을 통하여 적혈구를 감별하였고 방법을 달리하여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요침사를 관찰하여 형태학적 고찰을 통하여 이형적혈구를 보다 명확한 3차원구조를 관찰할 수 있었다 침생검을 통해 얻은 조직학적 소견으로는 사구체의 기저막을 통과한 혈구들의 요로를 통하여 배출과정을 광학현미경 및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육안적 혈뇨의 색은 유출되는 적혈구의 양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용혈된 정도가 심한 경우에 콜라색 혈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결과에서 본 연구자들은 사구체성 질환을 동반한 유극적혈구 및 환형 적혈구 등과 같은 변형된 적혈구를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명확한 관찰을 함으로 사구체성 질환으로 인한 혈뇨의 감별에 주사형 전자현미경이 가장 유용한 검사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