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Activated Charcoal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Nutrient Disappearances

사료에 대한 활성탄의 첨가가 in vitro 시험시의 발효성상 및 영양소 소실율에 미치는 영향

  • Lee, B.D.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S.K.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K.D. (Dept. of Animal Science, Woosong Information College)
  • 이봉덕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동물자원학부) ;
  • 이수기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동물자원학부) ;
  • 이기동 (우송정보대학 동물과학과)
  • Published : 1999.12.30

Abstract

An in vitro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activated charcoal (AC) on the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nutrient disappearance, and ruminal gas production. AC was added at the levels of 0.00, 0.25, and 0.50 % to each of the four types of diets (roughage/concentrate ratio : 8/2, 6/4, 4/6 and 2/8), respectively. Although not significant, ruminal pH tended to increase by adding AC, and as the concentrate level increased, ruminal pH decreased (P<0.05). Acetate concentration and acetate/propionate molar ratio tended to decrease in AC diets. but molar % of propionate tended to increase by the addition of AC. Ruminal degradation of dry matter, crude protein, NDF, ADF, and hemicellulose in AC diets tended to increase than in non-AC diet, however, no tendency in ruminal degradation of crude fat was observed. As the concentrate level increased, rumunal degradation of dry matter and nutrients in AC diets increased significantly(P<0.05). Ruminal gas production tended to decrease in the 0.50 % AC diets, however, it tended to increase in high roughage diets. Although there appeared some beneficial effects in adding AC to ruminant diets in this study, more works should be done with AC before we can make clear conclusion on the use of AC in the ruminant diets.

본 시험음 활성탄의 첨가가 사료의 반추위내 발효성상 건물 및 영양소 소실율 반추위내 가스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in vitro 조건에서 실시되었다. 활성탄의 첨가수준은 0.00 0.25 0.50 %의 3수준이었으며, 사료의 조농비율은 볏짚과 농후사료 비율을 8:2 6:4 4:6 및 2:8로 하였다. 그리고 처리간 유의성은 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위액의 pH는 활성탄의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사료의 조농비율에 따른 영향은 8:2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VFA molar %는 활성탄 첨가에 의하여 유의한 결과는 아니지만 $C_2$는 감소되고 $C_3$는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조사료비율이 증가될 수록 전술의 결과와는 상반된 현상을 보였다. $C_2/C_3$ 비율도 활성탄의 첨가와 농후사료 비율의 증가에 의하여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건물 및 영양소 소실율에 있어서는 활성탄 첨가에 의하여 건물 조단백질 NDF ADF hemicellulose의 소실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조지방의 소실율은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조농비율에 의한 영향에 있어서는 농후사료의 비율이 증가할 수록 건물 및 영양소의 소실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반추위내 가스 생산량에 있어서는 활성탄 0.5% 첨가구가 0.25% 및 0.00%구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조사료의 비율이 높을수록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위 결과에서 보듯이 활성탄은 가축의 생산성 향상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것을 좀 더 명확히 밝히기 위해서는 활성탄의 흡착능력 위내의 세균총에 대한 연구 및 많은 생체실험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충남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