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Blood Pressure Control in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Treated with Peritoneal Dialysis

복막 투석중인 만성 신부전 환자의 혈압 조절에 관한 연구

  • Jung, Hang-Jae (Division of Neph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Bae, Sung-Hwa (Division of Neph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Park, Jun-Bum (Division of Neph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Jo, Kyoo-Hyang (Division of Neph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Young-Jin (Division of Neph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Do, Jun-Young (Division of Neph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Yoon, Kyung-Woo (Division of Neph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정항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배성화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준범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조규향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영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도준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윤경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9.12.30

Abstract

Background and Methods: In order to evaluate characteristics and modulatory factors of blood pressure in peritoneal dialysis(PD),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69 patients who had underwent peritoneal equilibration test(PET).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ll patients received an antihypertensive drug before PD, but, 15 of 69 patients successfully quit taking the antihypertensive drug after peritoneal dialysis. 2) During peritoneal dialysis, mean arterial pressure(MA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or the first 3 months, and this lasted for 1 year, and antihypertensive drug requiremen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ntinuously up to 9 months(p<0.05). 3) After changing the modality from hemodialysis to peritoneal dialysis, MAP(mmHg, from $107.0{\pm}4.5$ to $98.6{\pm}8.8$, p<0.05), antihypertensive drug requirements(from $5.6{\pm}2.6$, to $2.0{\pm}2.5$, p<0.01) and erythropoietin dosages(Uint/week, from $4600{\pm}2660$ to $2000{\pm}1630$, p<0.05) were decreased. 4)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AP(p<0.01) and daily ultrafiltration volume(p<0.05) can contribute to the determination of antihypertensive drug requirement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hypertensive drug requirements and PET results or dialysis adequacy indices(weekly Kt/V, weekly creatinine clearance) was not revealed.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prescription of antihypertensive drug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daily ultrafiltration volume, especially during first year after initiating PD, and follow-ups for over a year may be needed.

충분히 복막투석을 시행 중인 환자에서 혈압 조절은 혈액투석에 비해 비교적 용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복막투석 환자의 혈압 조절 특성 및 이에 미치는 여러 인자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복막투석 시작 시 69명 모두에서 고혈압으로 항고혈압제를 사용하였으나 마지막 추적 관찰 시 항고혈압제가 전혀 필요 없었던 경우가 15명이었고 평균동맥압(mmHg)은 복막투석 시작 시 105.1에서 마지막 추적 관찰 시 97.6로 유의한(p<0.05) 감소가 있었다. 2) 6개월간 추적 관찰한 43명에서의 평균동맥압(mmHg)은 복막투석전 107, 복막 투석 후 1개월째 101.5, 2개월째 99, 3개월째 98, 4개월째 98.1, 6개월째 99.5이었고 항고혈압제 사용량(%)은 복막 투석 전 항고혈압 약제 사용량을 100%로 할 때 복막 투석 후 1개월에 75.9, 2개월에 70.4, 3개월에 64.4, 4개월에 56, 6개월에 52.1이었다. 12개월간 추적 관찰한 32명에서의 평균동맥압(mmHg)은 복막투석전 108.1, 복막투석 후 1개월에 99.1, 2개월에 98.4, 3개월에 96.9, 4개월에 97.5, 6개월에 99.2, 9개월에 98.9, 12개월에 96.1이었고 항고혈압제 사용량(%)은 복막투적 전 100, 복막투석 후 1개월에 81.9, 2개월에 73.4, 3개월에 65.7, 4개월에 55.2, 6개월에 58.1, 9개월에 45.8, 12개월에 46.7이었다. 3) 혈액투석에서 복막투석으로 전환한 환자 10명에서 혈액투석 시와 복막투석 시 평균동맥압(mmHg)이 각각 $107{\pm}4.56$, $98.6{\pm}8.77$로 복막투석 시 유의하게(p<0.05) 낮았고, 항고혈압제 사용량(%)은 각각 $5.6{\pm}2.6$, $2.0{\pm}2.5$로 복막투석 시 항고혈압 약제의 사용이 유의하게(p<0.01) 적었다. EPO 용량(U/week)은 각각 $4600{\pm}2660$, $2000{\pm}1630$로 복막투석 시 유의하게(p<0.05) 낮았다. 4) 복막투석군 중에서 항고혈압제 사용량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평균동맥압과 하루 동안의 초여과 양이었고 그 밖의 PET의 지표나 투석 적절도는 항고혈압제 사용량과 관계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복막 투석 환자의 고혈압 치료 시에는 초여과 양을 충분히 고려한 항고혈압제의 사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