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al Tolerance for Pollutants in Littorina brevicula(Philippi) 2. The Growth, Metabolism and Histological Changes Exposed to TBTCl and Heavy Metals in Littorina brevicula

총알고둥 (Littorina brevicula(Philippi))의 오염원에 대한 환경내성 2. 유기주석 및 중금속에 대한 총알고둥의 성장, 대사 및 조직학적 변화

  • CHIN Pyung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Jung Ah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SHIN Yun Kyung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Jung Sick (Department of Fish Pathology, Yosu National University)
  • 진평 (부경대학교 해양생물학과) ;
  • 이정아 (부경대학교 해양생물학과) ;
  • 신윤경 (부경대학교 해양생물학과) ;
  • 이정식 (여수대학교 어병학과)
  • Published : 1999.09.01

Abstract

The survival rates of Littorina brevicula exposed to experimental concentration regimes of TBTCl, HB and Cd on the large and the small size individuals during 80 days were $80\%$ at 0,9ppb TBTCl, 40 and $25\%$, respectively at 200ppb Hg, and 75 and $45\%$, respectively at 100ppb Cd. The growth rates of the experimental animals exposed to each concentration for 80 days was 0.023mm/day at control, 0.019mm/day at 0.1ppb and 0.014mm/day at 0.9ppb TBTCl, 0.022 mm/day at 5ppb, 0.008 mm/day at 200ppb Hg, and 0.017 mm/day at 5ppb, 0.008mm/day at 100ppb Cd. The respiration rates and excretion rates of the experimental animals exposed to chronic concentration of TBTCl, Hg and Cd were decreased until approximatively 40 days and increased after, Toxic effect of pollutants on L. brevicula was highest at TBTCl. The histological injury of L. brevicula exposed to TBTCl, Hg and Cd was shown at gill, digestive organ and muscle, respectively.

우리나라 전 연안의 조간대에 분포하고 있는 총알고둥을 대상으로 생존, 성장, 호흡, 배설에 미치는 유기주석, 수은 및 카드뮴의 만성저해성 연구를 통하여, 오염으로 인한 독성과 그에 따른 내성등을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온 $23^{\circ}C$에서 80일 동안 TBTCl, Hg 및 Cd의 각 실험농도에 폭로시킨 총알고둥의 생존율은 TBTCl, 0.9$\mu$g/$\ell$에서 $80\%$, Hg, 200$\mu$g/$\ell$에서 $25\%$, 그리고 Cd, 100$\mu$g/$\ell$에서는 $45\%$였다. 각 실험농도에 폭로된 총알고둥의 일일 평균 성장률은 대조구에서 0.023mm/day였으며, TBTCl의 경우는 0.1 $\mu$g/$\ell$에서 0.019mm/day로 $17.39\%$, 0.9 $\mu$g/$\ell$에서는 0.014 mm/day로 $39.13\%$ 감소하였으며, Hg의 경우는 50 $\mu$g/$\ell$에서 0.015 mm/day로 $34.78\%$, 200 $\mu$g/$\ell$에서는 0.008mm/day으로 $65.22\%$ 감소하였다. 그리고 Cd의 경우는 5$\mu$g/$\ell$에서 0.017 mm/day로 $26.09\%$, 100 $\mu$g/$\ell$에서는 0.008 mm/day으로 $65.22\%$ 감소하였다. TBTCl, Hg 그리고 Cd의 각 저해농도에 폭로시킨 총알고둥의 호흡 및 질소 배설률은 폭로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체로 폭로전반에는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 오염원에 따른 조직학적 변화양상은 TBTCl에서 아가미, Hg에서는 소화관 그리고 Cd의 경우에는 발 근육층부분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