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판 까나리액젓의 품질조사

Quality Investigation of Commercial Northern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Sauces

  • 조영제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 임영선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 이근우 (군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김건배 (군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최영준 (경상대학교 해양생물이용학부)
  • CHO Young Je (Facul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Food Science and Technology major,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IM Yeong Sun (Facul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Food Science and Technology major,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Keun Wo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unsan University) ;
  • KIM Geon Bae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unsan University) ;
  • CHOI Young Joon (Division of Marine Bioscience, Marine Food Science and Technology major,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9.09.01

초록

본 연구는 까나리액젓의 객관적인 품질지표의 설정 및 품질의 등급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일광하에서 18개월 동안 발효$\cdot$숙성시킨 까나리액젓과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시판 제품 15종을 구입하여 각종 성분들을 분석하고, 그 차이를 비교$\cdot$검토하였다. 까나리액젓의 수분함량은 대조구의 경우 $65.3\%$였으며, 시판제품의 경우 $66.5\~71.0\%$ 범위였고, 회분량은 대조구가 $22.4\%$, 시판제품이 $19.3\~24.6\%$ 범위였다. 조단백 질함량은 대조구의 $11.41\%$에 비해 시판제품이 $4.7\~12.0\%$ 범위로 낮아 액젓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함질소화합물의 농도가 낮음을 나타내었고, 제조원간에도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시판제품의 pH는 5.56$\~$6.47 범위로 대조구의 5.01보다 높았으며, 염분함량은 시판제품에서 $24.0\~32.9\%$ 범위로 넓게 나타났고, 대조구 (C)는 $29.6\%$였다. 총질소 및 아미노산성질소함량은 시판제품의 경우 대조구 (각각 1.825g/100ml, 1257.97mg/100ml)보다 낮은 0.781$\~$1.918g/100ml 및 445.9-1037.9mg/100ml 범위로서 제조원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였고, 그 중에서 M, O사 제품은 현행 멸치액젓의 품질기준에 미달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질소함량이 높은 제품이 대체로 아미노산성질소함량도 높았다. 시판제품의 VBN함량은 대조구와 비슷하였으며, TMAO 및 TMA함량은 대조구보다 약간 높은 편이었다. 대조구와 시판제품 모두 ATP, ABP, AMP는 거의 검출되지 알았으며, IMP는 극미량, HxR은 약간 검출되었고, 약 $90\%$ 정도가 Hx과 요산이었다. ATP 관련물질 총량 (IMP+HxR+Hx+요산)도 대조구가 9.022$\mu$mo1/ml로 A사를 제외한 나머지 시판제품의 4.766-8.989$\mu$mo1/ml보다 더 많았다. 색도는 시판제품이 대조구보다 $A_{453}$이 낮았다.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시판제품이 3,258.9$\~$6,562.6mg/100ml 범위로서 제조원에 따라 2배 정도의 함량 차이를 보였으며, 대조구는 총량이 7,911.3mg/100낀로 시판제품 (AtoP)의 1.2~2.4배였다.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은 시판제품이 glutamic acid (평균 $15.7\%$ ), Iysine, alanine, leucine, valine, aspa-rtic acid, isoleucine 등의 순이었고, 대조구는 glutamic acid ($15.2\%$ ), alanine, Iysine, leucine, isoleucine, valine, aspatic acid등의 순으로 나타나 주요 아미노산 종류는 같았다 그리고 이들 아미노산의 함량은 총량의 약 $66\%$ 정도를 차지하였다.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15 kinds of the commercial northern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sauce (CNS) of korean traditional salt-fermented fish sauces were evaluated comparing to the traditional northern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sauce (TNS). The ranges of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CNSs were $66.5\~71.0\%$ moisture, $19.3\~24.6\%$ ash, $4.7\~12.0\%$ crude protein, and the pH and salinity were $5.56\~6.47\%,\;24.0\~32.9\%$, respectively. Total nitrogen, amino nitrogen, total free amino acid and total ATP related compounds (sum of ATP$\~$IMP, HxR, Hx and uric acid) were in the ranges of 0.781$\~$ 1,918 g, 445.9$\~$1037.9 mg, 3,258.9$\~$6:562.6mg in 100 ml CNSs, and 4.766$\~$8.989 $\mu$mol in 1 ml CNSs. The CNSs were higher in content of moisture, TMAO, TMA and pH, but lower in content of crude protein, salinity, total nitrogen, amino nitrogen, total ATP related compounds, absorbance at 453 nm and total free amino acid than the TNSs, Both CNS and TNS samples were rich in free amino acids, such as glutamic acid, lysine, alanine, leucine, valine, aspartic acid and isoleucine in the ord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