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and ADL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농촌 노인들의 인지기능장애와 일상생활 활동도와의 관련성

  • Kim, Seok-Beom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ang, Pock-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Sang-Kyu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김석범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강복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상규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9.03.01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In the elderly of rural area.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210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and older, living in a district of Kyongju City. The cognitive impairment was measur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and newly constructed th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Bristol activities of dally living scale developed specifically to be used with people with dementia was used to measure ADL Results. The mean scores of both MMSE-K and K-MM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x groups and by .age groups, respectively(p<0.05). The mean scores of AD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groups(p<0.01) not by sex groups. Among the 4 components of 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self care, orientation, and mobility), the mean score of the orient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en(p<0.01); and IADL, orientation and mobility compon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groups(p<0.01). ADL correlated well with MMSE-K (r=0.54) and K-MMSE(r=0.52) and showed higher correlation in female (r=0.73, 0.71) than male(r=0.27, 0.29). IADL and orienta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MSE-K(r=0.52, 0.62) and K-MMSE(r=0.50, 0.63), respectively(p<0.01). Conclusions. In developing and establishing a care model for people with dementia in the community, both cognitive impairment and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need to be considered.

농촌노인들의 인지기능장애 정도와 일상생활 활동도 사이의 상관성을 성별과 연령에 따라 비교하여 추후 공공보건기 관에서 치매환자를 관리하기 위한 계획 수립과 우선순위 선정 등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1998년 2월부터 4월까지 경상북도 경주시 소재 l개 보건진료소 관할지역 내의 65세 이상 전체 노인 265명 중 부재중이거나 비협조적인 55명을 제외한 210 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성, 연령, 배우자 유무, 동거가족 수, 교육정도, 종교, 의료보장 형태 등을 설문조사하였고, MMSE-K와 K-MMSE로 인지 기능장애를 검사하였으며,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활동도 측정도구인 Bristol ADL 평가척도로 일상생활 활동도를 조사했다. 수집된 자료를 성별과 연령에 따라 t-test, ANOVA 및 $\chi^2-test$를 사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인지기능장애정도와 일상생활 활동도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인지기능검사 점수의 평균값은 두가지 검사 모두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MMSE-K점수에 의한 확정적 치매는 전체 노인에서 12.9%였고 남자 7.0%, 여자 16.9%로 여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인지기능검사 점수의 평균값은 두가지 검사 모두에서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MMSE-K점수에 의한 확정적 치매가 남자에서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에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했다(p<0.05). 일상생활 활동도의 평균값은 총점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연령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인지기능검사 점수와 일상생활 활동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MMSE-K와 K-MMSE의 두가지 성적 모두는 일상생활 활동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65-69세, 70-79세, 80세 이상의 세 연령군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인지기능검사 점수와 일상생활 활동도 항목들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수단적 일상 생활 활동도, 자기관리, 인지능력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인지기능검사 점수와 일상생활 활동도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있으며 추후 지역사회 공공의료 조직에서 치매노인을 관리할 때 그 대상자의 선정에서 인지기능장애 정도와 더 불어 일상생활 활동도의 정도를 감안하여 우선순위를 두고, 관리시에도 인지기능장애 정도와 성별, 연령, 교육수준에 맞는 일상생활 활동도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