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ABUTMENT AND SUPPORTING TISSUES ACCORDING TO THE SLOPES AND TYPES OF CHIDING FLAMES OF THE LAST ABUTMENT IN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국소의치 최후방 지대치 유도면의 기울기와 형태가 지대치 및 지지조직의 응력분산에 미치는 영향

  • Kim, Yang-Kyo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Cheong-Hee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o, Kwang-Hun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양교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 이청희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 조광헌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Published : 1999.10.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abutment and sup-porting tissues according to the slopes and types of the guiding plane of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The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was used and the finite element models were prepared as follows. Model I : Kratochvil type guiding plane with $90^{\circ}$ to residual ridge Model II : Kratochvil type guiding plane with $95^{\circ}$ to residual ridge Model III : Kratochvil type guiding plane with $100^{\circ}$ to residual ridge Model IV : Krol type guiding plane with $90^{\circ}$ to residual ridge Distal extension partial denture which right mandibular first and second molar were lost was used and the second premolar was prepared as primary abutment with RPI type retainer. Then 150N of compressive force was applied to central fossae of the first and second molars and von Mises stress and displacement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del I and Model IV showed a similar stress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stress was concentrated on the apex of the root of the abutment. 2. The stress was increased and concentrated on mesial side of the root of the abutment in Model II. The stress was concentrated on buccal and mesiobuccal side of the root of the abutment in Model IV. 3. In Model I, the root of the abutment displaced and twisted a little in clockwise. In Model IV, the root of the abutment displaced to distolingually at apical region of the root and mesiobuccally at cervical region of the root. 4. In Model II, the root of the abutment displaced to mesiolingually at apical region of the root and more displaced and twisted in counterclockwise at cervical region of the root. In Model III, the root of the abutment displaced to mesiobucally at apical region of the root and more displaced and twisted in clockwise at cervical region of the root.

하악 우측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가 손실된 2급하악 후방연장 국소의치에서 무치악 부위 지대치 유도면의 기울기와 형태가 지지조직에 미치는 응력 및 변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Kratochvil 형태의 유도면의 기울기가 잔존치조제에 대하여 $90^{\circ}$인 경우, $95^{\circ}$인 경우, 그리고 $100^{\circ}$인 경우와 Krol형태의 유도면의 기울기가 $90^{\circ}$인 경우에 있어서 제2소구치를 지대치로 하고 RPI형태의 유지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모델링한 다음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의 중심와에 150N의 하중을 가하여 응력 및 변위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Kratochvil의 유도면 형태 중 기울기가 $90^{\circ}$인 경우와 Krol의 유도면 형태에서는 유사한 응력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지대치에서 치근단 방향으로 응력이 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유도면의 기울기가 $95^{\circ}$인 경우에서는 지대치의 치근단 부위에 응력이 증가하면서 근심방향으로 향하였으며, $100^{\circ}$인 경우에서는 치근단의 응력이 협측 및 근협측 방향으로 집중되어 나타났다. 3. 유도면의 기울기가 $90^{\circ}$인 경우에서는 지대치의치근이 조금 시계방향으로 비틀리는 양상으로 나타났으며, Krol의 유도면 형태에서는 지대치가 치근단 부위에서는 원설측으로 치경부에서는 근협측으로 변위되었다. 4. 유도면의 기울기가 $95^{\circ}$인 경우에서는 지대치의 치근은 치근단 부위에서 근설측으로 약간 변위되었고 치경부 방향으로 갈수록 반시계 방향으로 비틀리면서 보다 많이 변위되었으며, $100^{\circ}$인 경우에서는 지대치 치근단에서는 근협측으로 변위되었고 치경부방향으로 갈수록 시계방향으로 비틀리면서 보다 많이 변위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