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ression of bcl-2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its Effects on Cell Proliferation and Survival

비소세포 폐암에서 bcl-2의 발현률과 세포분열주기 및 예후에 미치는 영향

  • Kuk, Hia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oh, Hyeck-J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Gu, Ki-S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eong, Eun-Tai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국향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고혁제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구기선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은택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9.01.30

Abstract

Background : Tumor growth is the net result of intrinsic proliferation and escape from active cell death. bcl-2 is a member of a new category of oncogenes that is not involved in influencing cell proliferation but is involved in regulating cell death(apoptosis). Based on this information, it seems to be reasonable to expect that there may be clinical prognostic significance of bcl-2 expressio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But its prognostic significance is not established. Methods: To investigate the role of bcl-2 in lung cancer, we performed immunohistochemical stain of bcl-2 on 57 biopsy specimens from resected primary non-small cell lung cancer. Thereafter, flow cytometric cell cycle analysis was done. And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bcl-2 expression, clinical parameters, S-, $G_1$-phase fraction and survival. Results: bcl-2 were detected in 43.8% of total 57 patients(according to histology, squamous cancer 47%, adenocarcinoma 32%, according to TNM stage, I 28.6%, II 52.3%, III 45.5%. both differences were insignificant). By using the flow cytometric analysis, mean S-phase fraction of bcl-2(+) and (-) group were 14.1($\pm7.8$)%, 24.7($\pm10.5$)% (p<0.005), mean $G_1$-phase fraction of bcl-2(+) and bcl-2(-) group were 75.5($\pm10.8$)%, 65.5($\pm11.4$)%(p<0.05). 2yr, 3yr and 5yr survival and median survival time of bcl-2(+) group were 65%, 54%, 41%, 53 months, and those of bcl-2(-) group were 71%, 52%, 46%, 37 months. (p>0.05, Kaplan-Meier, log rank) Conclusion: bcl-2 was detected in 43.8% of primary non-small cell lung cancer. The S-phase fraction of bcl-2(+) group was less than bcl-2(-) group, and G1-phase fraction of bcl-2(+) group was more than bcl-2(-) group. But, expression of bcl-2 could not be a prognostic factor.

연구배경: bcl-2는 apoptosis를 억제하여 세포 수명을 연장시켜 종양세포의 생존기간 중 다른 암유전자의 추가척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증가시켜 암을 유발하는 암유전자이다. 이러한 bcl-2는 apoptosis 억제에도 불구하고, 임상적으로 bcl-2 양성인 경우에 그 기전은 아직 확실치 않으나 오히려 예후가 양호하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저자들은 비소세포 폐암에서 bcl-2의 발현률을 계측하고, 세포분열주기와 비교한 후 생존률과의 관계를 검색하였다. 방 법: 원발성 비소세포 폐암으로 확진받고, 외과적 절제술후 paraffin에 보관된 57례의 병리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으로 bcl-2의 발현을 확인하고, bcl-2와 병리조직형, TNM 병기, 유식세포분석법에 의한 세포주기비율(S-and $G_1$-phase fraction) 그리고 생존기간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57례 중 남녀비는 43:14 였고, 조직학적 분류는 편평상피암 34례, 선암 19례, 대세포암 4례였으며, TNM I 병기 14례, II 병기 21례, III 병기 22례였다. bcl-2는 43.8% (25/57)에서 발현되었으며 면평상피암 47%(16/34), 선암 32%(6/19)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TNM I 병기 28.6%(4/14), II 병기 52.3% (11/21), III 병기 45.5%(10/22)로서 역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bcl-2 발현군과 비발현군에서의 $G_1$-주기비율은 75.5($\pm10.8$)%, 65.5($\pm11.4$)% 로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p<0.05), S-주기비율은 14.1($\pm7.8$)%, 24.7($\pm10.5$)%로서 역시 유의하게 bcl-2 발현군의 세포분열능이 저하되어 있었다 (p<0.005). bcl-2 발현군과 비발현군에서의 2년 생존률은 65%, 71%, 3년 생존률은 54%, 52%, 5년 생존률은 41%, 46% 그리고 중간 생존기간은 53개월, 37개월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p>0.05, Kaplan-Meier, log rank) 결 론: 비소세포 폐암에서 bcl-2는 43.8%에서 발현되었으며, 병리조직형, TNM 병기에 따른 발현률의 차이는 없었다. bcl-2 발현군은 비발현군에 비하여 S-주기비율은 유의하게 감소하고, $G_1$-주기비율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bcl-2 발현군의 중간 생존기간은 53개월로서 비발현군의 37개월보다 연장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원광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