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Background: Mixed obstructive and restrictive pattern of spirometry can not be concluded in the presence of true restrictive disorders because pure obstructive disorders can also show reduced vital capacity. However, it is not known how many patients with mixed spirometric pattern really have restrictive disorders in Korea whose pattern of pulmonary diseases is somewhat different from foreign countries. To answer this question, I performed this study and tried to answer it according to diseases in addition. Method: Test results from 413 patients who undergone both spirometry and lung volume measurements on the same visit from August 1, 1998 to July 31, 1999 were included. Spirometry data were classified as mixed obstructive-restrictive pattern when spirometry showed '$FEV_1/FVC$<70% (<65% if age$\geq$60)' and FVC<80% of predicted value'. TLC by the method of nitrogen washout was considered as gold standard to diagnose restrictive disorders in which TLC is less than 80% of predicted value. Results: Out of 404 patients who could be evaluated, 58 had mixed pattern of spirometry. 58 patients were suffered from airway diseases(39 patients) such as COPD(22 patients, 38%), asthma(11, 19%), bronchiectasis (6,10%), and sequelae of pulmonary tuberculosis(15, 26%) or other diseases(4,7%). Only 18 out of 58(31%) were confirmed to have true restrictive disorders by TLC. The proportion of true restrictive disorders was different according to diseases, 20.5%(8/39patients) in patients with airway diseases and 53.3%(8/15) with sequelae of pulmonary tuberculosis(p<0.05). Conclusion: Many patients whose spirometry showed mixed pattern didn't have restrictive disorders but had pure obstructive disorders. This was true for more patients with airway diseases. Therefore it would be prudent that lung volume be tested to diagnose restrictive disorders in patients with mixed spirometric pattern.
연구배경: 폐활량 검사 상 폐쇄성과 제한성 환기 장애가 혼합되어 있으면 혼합성 환기 장애라고 하는데, 폐활량 검사상에는 혼합성 장애를 보일지라도 실제 폐쇄성 장애만 있고 제한성 장애가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폐활량 검사 상 혼합성 환기 장애를 보이는 환자 중 실제로 제한성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는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실제로 제한성 장애를 동반하는 빈도가 질병에 따라 다른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1998년 8월 1일부터 1999년 7월 31일까지 부천 세종병원에서 폐활량 및 폐용적 검사를 같은 날 측정한 413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폐활량 검사 상, '$FEV_1/FVC$<70%(단, 나이$\geq$60 이면 65%가 기준)'이고 'FVC<80% 추정 정상치'인 경우를 혼합성 환기 장애로 해석하였다. 질소 세척법으로 측정한 TLC를 제한성 장애 진단의 표준 진단법(gold standard)으로 이용하였고 'TLC<80% 추정 정상치'인 경우 제한성 장애가 있다고 진단하였다. 결 과: 분석이 가능하였던 404명 중 폐활량 검사상 혼합성 환기 장애 소견을 보인 환자는 58명(14%)이었다. 이들 58명의 질병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 22명(38%), 천식 11 명(19%), 기관지 확장증 6명(10%) 등 기도 질환이 있는 경우가 39명이었고 폐결핵 후유증 15명(26%), 기타 4명(7%)이었다. 폐활량 검사상 혼합성 환기 장애를 보인 58명중 TLC에 의해서 실제로 제한성 장애가 있음이 확인된 경우는 31%(18명)뿐이었다. 그리고, 이들 58명중에서 천식, 기관지 확장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의 기도 질환이 환자와 폐결핵 후유증 환자를 비교하였을 때, TLC에 의해서 실제로 제한성 장애가 있음이 확인된 환자는 각각 20.5%(8/39명), 53.3%(8/15명)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 론: 폐활량 검사상, 혼합성 환기 장애를 보여도 실제로는 제한성 환기 장애는 없고 단지 폐쇄성 환기 장애만 있는 경우가 많고, 특히 기도 질환 환자의 경우 더욱 그렇다. 따라서, 폐활량 검사상 혼합성 환기 장애를 보이는 경우 실제로 제한성 장애가 있는지를 판단하려면 추가로 폐용적 검사 등을 시행하는 것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