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주의 담금비율이 간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shing Proportion of Soybean to Salt Brine on Kanjang(soy sauce) Quality

  • 최광수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최종동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정현채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권광일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임무혁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실) ;
  • 김영호 (혜전전문대학 호텔제과제빵과) ;
  • 김우성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실)
  • Choi, Kwang-Soo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
  • Choi, Jong-Do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
  • Chung, Hyun-Chae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
  • Kwon, Kwang-Il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
  • Im, Moo-Hyeog (Test and Analytical Lab., Kyungin regional Food & Drug Administration) ;
  • Kim, Young-Ho (Department of Hotel Baking Technology, Hyejeon College) ;
  • Kim, Woo-Seong (Test and Analytical Lab., Busan regional Food & Drug Administration)
  • 발행 : 2000.02.28

초록

본 연구는 메주에 대한 20% 소금물의 담금비율이 간장의 성분 및 관능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 담금비율별 간장의 총질소 및 TCA 가용성 질소 함량은 콩에 대한 소금물의 비율이 높을수록 적었으며, pH는 $1\;:1.5{\sim}1\;:\;3$ 간장에서는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보여주었으나 1:1 간장에서는 5.78로 높았다. 간장덧에서 분리한 여과박에서도 약 $2.61{\sim}2.95%$의 총질소가 남아 있었다. 담금비율별 간장의 유기산 함량은 $1:1.5{\sim}1:3$ 간장에서는 $1,442.01{\sim}1,967.53\;mg%$로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으나 1:1 간장에서는 591.87 mg%로 낮은 함량을 보여주었으며, 주요 유기산은 lactic acid, pyroglutamic acid및 acetic acid였다. 유리당 함량은 1:1 간장에서 1,519.88 mg%로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일반적으로 소금물의 함량이 많을수록 유리당 함량은 적었다. 담금비율별 간장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총질소의 함량과 같은 경향이었으며, 간장의 주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lysine. leucine이며, 1:2.5와 1:3 간장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lanine, leucine이었으며 1:2 간장은 glutamic acid, lysine, alanine, leucine이었다. 간장덧 총 무게에 대한 간장의 수율 및 콩 중량에 대한 간장의 수율은 사입하는 소금물의 함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고, 콩 중량에 대하여 간장에 유리된 총질소의 회수율은 1:2, 1:2.5 및 1:3 간장에서는 각각 33.7%, 33.2% 및 34.0%로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1:1 간장은 회수율이 낮았다. 간장의 관능검사 결과, $1:1{\sim}1:2.5$ 간장은 5%수준에서 유의차가 없었고 1:3 간장은 1:1 간장과 5% 수준에서 유의차가 있었으며 $1:1.5{\sim}1:3$ 간장에서도 5%수준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간장의 종합적 기호도와 맛성분 사이의 회귀분석결과 glutamic acid 함량과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간장의 맛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shing proportion of meju(as wet weight basis of raw soybean) to 20% salt brine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anjang. By increasing the salt brine proportion in the kanjang mash, total nitrogen, TCA soluble nitrogen and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in kanjang were decreased accordingly, but although pH values and organic acids content were not different noticeably, the major organic acids in kanjang, lactic acid, pyroglutamic acid and acetic acid were increased up to the mashing proportion of 1:2 from 1:1 and pH values decreased up to that of 1:2.5. Residual sugar content in 1:1 kanjang was exceptionally high. The major free amino acids in kanjang were glutamic acid, lysine, alanine and leucine. The acceptability scores of kanjang tested by sensory evaluation were decreas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salt brine proportion of kanjang mash, but those of kanjang samples with $1:1{\sim}1:2.5$ mashing propor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at of 1:3 different from 1:1 statistically at 5% level. The major chemical compositions, significantly effective to the acceptability of kanjang, were found to be glutamic acid and free amino acid by statistical analysi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