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Radish Cultivars f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Kakdugi Preparation

무 품종별 이화학적 특성 및 깍두기 가공적성

  • Ryu, Ki-Don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Chung-Ang University) ;
  • Chung, Dong-Hyo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Chung-Ang University) ;
  • Kim, Jong-Kee (Department of Horticultural Crops Breeding, Chung-Ang University)
  • 류기돈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 정동효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 김종기 (중앙대학교 원예육종학과)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For scientification of commercial fermented radish products the study on physicochemical and processing properties of various radish cultivars should be proceeded and needed. Moisture contents of 3 parts of root ranged from 91.3 to 94.0%. Although, the upper part showed less content of moisture and ash than other parts, the upper part contained higher amount of crude protein and soluble solids. The sugar contents of Baekkwang grown on spring was the lowest$(5.0^{\circ}Brix)$ and that of Taebaek grown on autumn was the highest $(6.6^{\circ}Brix)$ among 6 cultivars. Significant difference of acidity was shown in various cultivars but not in each parts. The most abundant soluble sugars in radish root was glucose ranging from 15.8 to $27.3\;{\mu}mole/g\;f.w.$ fresh weight, f.w. and followed by fructose ranging from 16.4 to $23.1\;{\mu}mole/g\;f.w.$ However, the content of sucrose ranging from 0.7 to $2.7\;{\mu}mole/g\;f.w.$ was the lowest compared to others. Hardness of fresh root was the highest in Taebaek $[93.4{\sim}156.9N/m^2(\times10^3)]$, followed by Dongja and Chudong, and the lowest in Baekkwang. Changes in rigidity of roots during brining were determined. Although the rigidity was drastically reduced during initial 60 min., it was reversely increased during further storage. Sensory acceptabilities of Taebaek and Dongja were the best among 7 cultivars. Optimal time of radish fermentation at pH of 4.2 and acidity of 0.6% was between 24 and 28 days of storage.

무의 품종별 이화학적 특성과 가공적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 품종간 봄무가 가을무에 비하여 길이는 길고 직경은 좁았으며 여름무는 중간정도였다. 무게는 봄무, 여름무, 가을무가 $680{\sim}1,000\;g$이었다. 품종별 이화학적 특성은 가을무, 소형무가 봄무에 비하여 수분, 회분함량은 낮았고 당도와 당함량은 높았다. 부위별로는 상 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하여 가을무와 같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물리적 특성인 경도는 품종간 차이가 상이하였는데 가을무가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았고 특히 태백이 가장 높았다. 부위별로는 상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소금절임시 경도의 변화는 품종별로는 가을무 특히 태백이 높았고 봄무인 백광이 가장 낮았으며 부위별로는 상 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하여 높았다. 깍두기 가공 저장시 경도의 변화는 가을무와 소형무가 봄무에 비하여 높았고 가을무 중에서는 태백이 가장 높았다. 깍두기를 $4^{\circ}C$에서 저장시 pH 4.2, 산도 0.6% 인 때는 24일경으로 이때 관능검사 결과는 가을무가 봄무에 비하여 firmness와 chewiness가 높았고 전체적인 텍스쳐 기호도가 좋았다. 이상의 결과들은 종합해 볼 때 깍두기 가공 저장의 적당한 품종은 외형적으로 기계적 처리와 수율이 좋고, 화학적으로는 수분함량은 적고 당도와 당함량은 높으며, 물리적으로는 경도가 높고 가공 저장시 경도가 높아 어느정도 질김성이 있는 것으로서, 본 실험에서는 태백이 이 조건을 만족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