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Volume 8 Issue 3
- /
- Pages.225-233
- /
- 2000
- /
- 1225-9306(pISSN)
- /
- 2288-0186(eISSN)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tion of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cis $T_{HUNB}$ from Korea and China
중국산과 국내산 헛개 나무 열매의 체내 알콜 분해능 및 간 해독 작용
- Kim, Min-Hae (Division of Food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ung, Yoo-Taek (Division of Food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Jin-Ha (Division of Food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Young-Shik (Bi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of MiRae Bio, Chunchon Bio-Industry Venture Support Center) ;
- Shin, Myung-Ki (Bi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of MiRae Bio, Chunchon Bio-Industry Venture Support Center) ;
- Kim, Ho-Sang ;
- Kim, Dong-Hoon ;
- Lee, Hyeon-Yong (Division of Food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민회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 정우택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 이진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 박영식 ((주) 미래바이오 생명공학연구소, 춘천생물산업벤쳐지원센터) ;
- 신명기 ((주) 미래바이오 생명공학연구소, 춘천생물산업벤쳐지원센터) ;
- 김호상 ;
- 김동훈 ;
- 이현용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Published : 2000.09.30
Abstract
There was not noticeable differences in decreasing blood alcohol concentr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produced Hovenia dulcis
강원 양양산과 중국산 헛개 나무 열매와의 활성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쥐 와 사람을 대상으로 생체 내 알콜 분해 속도에 대한동력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양산이 중국산에 비해 1-2 % 로 극히 적게나마 빠른 알콜 분해 속도를 보였으며 분획물 에서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이 정도의 차이가 두 품종 간 알콜 분해 속도에 차이가 있다고 주장하기에는 유의성이 적어 일반적으로 두 생산지의 차이에 따른 알콜 분해 속도의 차이는 극히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추출물 모두 알콜만 섭취했을 경우보다 1-2 시간 정도 빠르게 알콜을 분해했으며 유용 성분이 농축된 분획물의 경우 조 추출물보다 1-2 시간 정도 빨라 분획물을 섭취한 경우 알콜만 섭취한 경우보다 약 2 배 정도 빠른 혈중 알콜 분해 속도를 보였다. ADH 와 ALDH 의 활성 증진에 대한 영향을 비교한 결과 조 추출물의 경우 중국산이 양양산 보다 약간 높은 효과를 보였으나 분획물에서는 그리 큰 차이가 없거나 양양산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특이한 것은 ADH 의 경우는 두 종의 분획물 모두 조추출물 경우 보다 50-60% 이상 활성 증진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나 ALDH 의 경우는 두 분획물 모두 활성 증진이 조추출물에 비해 10% 정도의 낮은 활성 증진 정도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알콜만 섭취한 경우에 비해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동시에 섭취한 경우 ADH와 ALDH 효소의 활성이 약 30-60% 이상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두 효소위 활성 촉진 정도가 공히 28-29% 정도를 유지해 ADH 와 ALDH 의 활성이 생체 내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헛개나무 추출물들은 ADH 보다는 ALDH 효소의 활성에 보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숙취 원인 물질인 acetaldehyde 의 제거 에 효과적일 것이라는 평가가 가능하다. 이와 함께 간의 해독 작용 촉진 정도를 비교한 결과 중국산 헛개나무 추출물이 양양산 보다 상대적으로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0.6 g/L 이상의 농도에서는 효소 활성이 어느 정도 저해되는 현상을 보여 헛개나무 추출물이 간해독작용에 관여하는 효소와 competitive inhibition 관계에 있을 수 있다는 추론을 할 수 있다 . 하지만 두 종 모두 조 추출물과 분획물의 경우 120-300% 이상의 GST 효소 활성 증진 효과를 보여 생산지에 관계없이 간 기능 활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