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New AJCC Staging System with OId AJCC Staging System in Nasopharyngeal Carcinoma

비인강암에서의 AJCC의 새로운 병기 분류법과 기존 병기 분류법의 비교

  • Hong Semie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Wu Hong-Gyun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Charn I1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홍세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우홍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박찬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new version of the AJCC staging system (1997) of nasopharyngeal carcinoma in comparison with the AJCC staging system of 1992.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83 and 1996, 185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nasopnaryngeal carcinoma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t the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these patients, AJCC staging system of 1992 was compared with the 1997 version by reviewing hospital records, computed tomography (CT) and/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Results :5-year overall suwival rates according to the 1992 and 1997 AJCC staging systems were 100$\%$, and 100$\%$ at stage 1: 100$\%$, and 68.8$\%$ at stage 11; 61.4$\%$, and 63.8$\%$ at stage 111; 61.1$\%$, and 63.2$\%$ at stage IV. S-year overall survival rates of each classifi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ages (p=0.0049 for the old version, p=0.01 for the new),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staging systems except at stage 11. Conclusion : The new AJCC staging system allows staging as reliably as the 1992 version, but the adequacy of the newly modified staging classification should be confirmed by further clinical examination.

목적 : 본 연구는 1997년에 개정된 비인강암에 대한 AJCC병기 분류법을 1992년의 분류법과 비교하여 새로운 병기 분류법의 신뢰성을 평가하고자 시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 1983년부터 1996년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치료방사선과에 방사선 치료를 위해 내원한 185명의 조직학적으로 확진되고 원격전이의 증거가 없는 비인강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들에 대하여 의무 기록과 전산화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을 검토하여 1992년 병기 분류법과 1997년 병기 분류법에 따라 병기를 분류하였고 각 병기 분류법에 따라 생존율을 산출하였다. 결과 : 1992년 분류법과 1997년 분류법에 따른 5년 생존율은 병기 I에서 각각 100$\%$; 병기 II에서는 100$\%$ 와 68.8$\%$; 병기 III에서는 61.4$\%$ 와 63.8$\%$; 병기 IV에서는 61.1$\%$ 와 63.2$\%$ 였다. 각각의 분류법으로 산출한 5년 생존율은 각각의 병기분류법 내에서 병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양 분류법 간에는 병기 II를 제외하고는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새로운 비인강암의 AJCC 병기분류법은 이전의 1992년 분류법과 비교하여 신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