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in the Uterine Cervical Cancer Patients

자궁경부암 환자의 예후인자에 관한 분석

  • Yang, Dae-Si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Yoon, Won-Sub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Kim, Tae-Hyu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Kim, Chul-Yong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Choi, Myung-Su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양대식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 윤원섭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 김태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 김철용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 최명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suwival and recurrence rates of the uterine cervical carcinoma patients whom received the radiation therapy respectively. The prognostic factors, such as Papanicolaou (Pap) smear, carcinoembriogenic antigen (CE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SCC) antigen has been studied. Methods and Materials : From January 1981 to December 1998, eight-hundred twenty-seven uterine carvical cancer patients were treat with radiation therapy. All of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the radiation therapy only (S2l patients) group and the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326 patients) group. The age, treatment modality, clinical stage, histopathology, recurrence, follow-up Pap smears, CEA and SCC antigen were used as parameters for the evaluation. The prognostic factors such as survival and recurrence rates were peformed with the Kaplan-Meier method and the Cox hazard model, respectively. Median rollow-up was 38.6 months. Results :On the radiation therapy only group, 314 patients (60$\%$) achieved complete response (CR), 47 patients (9$\%$) showed local recurrence (LR), 78 patients (15$\%$) developed distant metastasis (DM). On the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group, showed 276 Patients (85$\%$) CR, 8 Patients (2$\%$) LR, 37 Patients (11$\%$) DM. The 5-year survival and recurrence rates was evaluated for all parameter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for the survival rate in univariate analysis were clinical stage (p=0.0001), treatment modality (p=0.0010), recurrence (p=0.0001), Pap smear (p=0.0329), CEA (p=0.0001) and SCC antigen (p=0.0001).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after treatment, the follow-up studies of Pap smear, CEA and SCC antigen were significant parameter and prediction factors for the survival and recurrence of the uterine cervical carcinoma.

목적 :자궁경부암은 우리나라 여성에서 가장 많은 발생을 보이는 악성종양으로 비교적 완치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경부암의 치료는 병원 마다 매우 다양해졌으나 방사선에 의한 치료가 주이며 높은 완치율을 얻고있다. 치료의 실패는 대부분 3년이내에 일어나며, 국소재발시에는 자궁방 결합조직에서 더 많이 재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치료성적과 재발여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생존률과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1981년 1월 1일부터 1998년 12월 31일까지 고려대학교 방사선 종양학과에서 자궁경부암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970명중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8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는 방사선 단독치료군과 수술후 방사선치료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환자에 대하여 나이, 임상적 병기, 세포병리학적 소견, 재발유무 등이 치료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고 특히 치료 후 자궁경부질세포진검사(Papanicolaou smear; Pap smear), 배아성항원(carcinoembryogenic antigen; CEA)와 편평상피 암종항원(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SCC antigen) 수치가 생존률과 국소재발에 유의한 인자인가를 알아보았다. 결과: 전체환자의 평균나이는 51.3세(방사선 단독치료존 53.1세, 수술 후 치료곰 48.3세)였고,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38.6개월(방사선 단독치료군: 38.8개월, 수술후 치료군: 38.4개월)이었다. 방사선 단독치료군의 경우 대상환자는 521명이었고, 임상병기는 CIS; 5명, IA; 3명, IB; 36명, IIA; 77명, IIB; 284명, IIIA; 31명, IIIB; 47명, IVA; 21명, IVB; 3명, 재발암 14명이었다. 세포병리학적 소견상 편평상피암 495명, 선세포암 23명이었고 완치상태로 추적관찰된 환자는 314명(60.3$\%$), 국소재발: 47명(9$\%$), 대동맥 림프절전이; 28명(5$\%$), 폐전이: 19명(4$\%$), 골전이: 12명(2$\%$)이었다. 수술 후 치료군은 326명이었고 임상병기는 CIS; 6명, IA: 50명, IB: 181명, IIA; 46명, IIB; 43명이었다. 세포병리학적 소견상 편평상피암: 291명, 선세포앓 32명이었고, 완치상태로 추적관찰된 환자는 276명(85$\%$), 국소재발 8명(2$\%$), 대동맥 림프절전이: 7명(2$\%$), 폐전이: 10명(3$\%$), 골전이; 10(3$\%$)이었다. 전체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5년 생존율은 71.2$\%$(방사선 단독치료군: 55.8$\%$, 수술 후 치료군: 88.1$\%$)였고 생존율에 있어서는 단변량분석상 임상병기(p=0.0001), 재발유무(p=0.0001), 방사선치료 후 자궁경부질세포진검(p=0.0329), CEA수치($\geq$5 ng/ml, p=0.00001), SCC수치$\geq$2 ng/ml, p=0.0001)가 의미있는 인자로 나타났고, 재발율에 있어서는 CEA가 $\geq$5 ng/ml인 경우, SCC는 $\geq$2 ng/ml인 경우가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방사선치료 후 Pap smear, CEA, SCC는 생존율과 재발율에 모두 비교적 의미있게 작용하는 예후인자로 나타나 앞으로 방사선치료 후 환자의 추적관찰시 자궁경부암의 국소재발과 전이 그리고 생존률을 미리 예견할 수 있는 지표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