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Study of Earth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남북한 중등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연구

  • Published : 2000.02.28

Abstract

The earth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the secondary school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were analysed comparatively with the modified TIMSS curriculum frameworks. In the secondary school of North Korea, earth science is not provided with separate subject, but partly taught in geography. Geography is taught by two hour per week in the first to fifth grade of secondary school. Especially the first and the fifth grade geography are deeply related to earth science. The major aim of earth science education in South Korea is to develop creative problem solver having with interest and curiosity in searching natural phenomena and with basic science concepts and inquiry process skills. But on the other hand the aim of geography education of North Korea is to cultivate communist revolutionists who are faithful to IL-Sung Kim and Jung-IL Kim. In both Koreas the category of 'earth feature' and 'earth process' are dealt a lot, but 'earth in the universe' is rarely taught in North Korea, which suggests that separate subject of astronomy is instructed in the North. Generally the scope and sequence of earth science of North Korea comes under those of middle school of South Korea. Especially discrepancy in level of meteorology and astronomy area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s great.

남북한 중등학교 지구과학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TIMSS 교육과정 분석틀에 의해 비교 분석하였다. 북한의 고등중학교에서는 '지구과학' 과목이 별도로 개설되어 있지 않으며, '지리'에서 부분적으로 지도된다('천문학'은 1996년 고등중학교 교육과정에 처음으로 설정된 과목으로 추정되나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 자료를 입수하지 못함). 북한에서 지리는 고등중학교 $1{\sim}5$학년에서 주당 2시간씩 지도되고 있으며, 1학년 및 5학년용 지리 내용의 대부분이 지구과학과 관련되어 있다. 남한의 경우 지구 과학 영역의 목표는 '자연 현상의 탐구에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기본적인 탐구 방법과 과학 지식을 습득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는 데 있으며, 북한 지리 교육의 목표는 '김일성 및 김정일 부자에게 충직한 주체형의 공산주의 혁명가 양성'이라고 할 수 있다. 남한과 북한 모두 '지구의 모양과 '지구의 변화 과정'을 많이 지도하고 있는데 비해, 남한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우주 속에서의 지구'가 북한에서 매우 적은 것은 북한에서 '천문학'을 별도로 지도함을 시사한다. 전체적으로 북한의 지구과학 영역의 범위와 수준은 남한의 중학교 수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는데, 특히 기상 분야 및 천문분야의 경우는 남한과 수준차가 심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중학교 과학 1 강영희(등)
  2. 중학교 과학 2 강영희(등)
  3. 중학교 과학 3 강영희(등)
  4.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5. 고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6. 통일교육 지도자료 교육부
  7. 사회주의 교육에 관한 테제(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5기 제4차 전원회의에서 발표) 김일성
  8. 고등학교 지구과학 Ⅰ 나일성;조희구;박용안;하효명;최덕근;강영운
  9. 고등학교 지구과학 Ⅱ 나일성;조희구;박용안;하효명;최덕근;강영운
  10.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남북한 초.중등 과학교과서의 화학 내용 비교 노석구
  11. 고등중학교 지리 3 박광철;진영균
  12.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국과 북한의 자연 교과서 비교 분석 박진원
  13. 과정안: 인민학교 고등중학교 북한교육위원회 보통교육부
  14. 고등중학교 지리 4 승일룡;진영군
  15. 북한교육의 조명 북한의 중등교육 이성호
  16. 과학교육연구논총 v.20 제6차 지구과학 교육과정의 특징과 개선 방안 이양락;최승언
  17.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논문 한국과 북한의 중등과학 교과서 비교 분석 이은영
  18. 고등중학교 지리 1 임경승;차용길
  19.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북한 물리 교과서 분석 전영오
  20. 과학과 기술 v.27 no.3 남 · 북 화학 용어 비교 정봉영
  21. 고등중학교 지리 5 조석형;문영빈;한태식;장인규
  22. 남북한 교과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모형 개발 연구 조주연;한만길;황규호
  23. 고등중학교 지리 2 진창훈
  24. 고등학교 공통과학 최돈형(등)
  25. 남북 초등학교 자연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최돈형;이양락;김재영;노석구
  26. 남북한 중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최돈형;김재영;노석구;이양락;전영석
  27. 북한교과서 분석 통일원
  28. 통일 시대 북한 교육론 한만길
  29. 교육과정 각론 개정 연구: 초 · 중 · 고등학교 과학과 한종하(등)
  30. Curriculum Frameworks for Mathematics and Science(TIMSS monograph, 1) Robitalle, D.F.;Knight, C.M.;Schimit, W.H.;Britton, E.;Raizen, S.;Nicole,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