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of DMS Concenturation in the Atmosphere over Yellow Sea - Preliminary Measurements 1mm Duk-Juk Island

한국 황해지역의 DMS 분포특성에 대한 연구 - 덕적도를 중심으로

  • 김기현 (세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과학과 대기환경연구실/세종연구원) ;
  • 김지영 (세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과학과 대기환경연구실/세종연구원) ;
  • 송기범 (세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과학과 대기환경연구실/세종연구원) ;
  • 김나영 (세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과학과 대기환경연구실/세종연구원) ;
  • 이강웅 (한국외국어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학과) ;
  • 배귀남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지구환경연구센타)
  • Published : 2000.02.28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ccumulate database for natural sulfur emissions in the Yellow Sea region of Korea. The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dimethylsulfide(DMS) were measured during two intensive field experiments (April and September 1999) from Duk-Juk Island located in the Yellow Sea. Ship-measurement of DMS was made additionally between Chungdo(China) and Inchun(Korea) across the Yellow Sea during June 1999. The mean(and ISD) of DMS concentrations in Duk-Juk Island during two field campaigns was $24.0{\pm}40.5$(n=40, April) and $61.1{\pm}37.9$ pptv(n=35, September), respectively. The atmospheric DMS measured from ship experiments was generally low and close to the background concentrations in the open sea area. The temporal distributions of DMS concentration were complicated in some sense but comparable to those of ambient meteorological parameters. On the basis of our measurements of atmospheric DMS(and evidence found from previous studies), the sea-to-air flux of DMS in the Yellow Sea is estimated to be about 4Gg S/yr. This amount of natural S emissions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estimates derived for Cheju Island. Therefore, additional experiments may be desperate to derive more reliable figures for natural sulfur emissions in the Yellow Sea region.

황해지역에서 생성 및 배출되는 자연황화합물의 규모를 정량적으로 구명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진은 황해에 위치한 덕적도를 주 측정점으로 설정하고 대기 중에 존재하는 DMS의 농도분포를 1999년 4월과 9월 2차례의 집중측정기간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에 덧붙여 1999년 6월에는 청도-인천간 해상실험을 통해 황해상의 DMS 농도를 측정하였다. 덕적도를 중심으로 시행한 양 측정기간 중 DMS의 농도값은 4월 측정의 경우 평균과 표준오차가 $24.0{\pm}40.5$ pptv(n=40)인데 반해 9월 측정의 경우 $61.1{\pm}37.9$ pptv(n=35)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상실험에서 측정한 DMS 값은 대체로 배경농도에 가까운 낮은 농도범위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DMS의 농도분포는 일반적으로 불규칙한 양상을 보였지만, 주변 기상인자의 변화경향과 유사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와 기존의 연구결과 등을 연계하여 잠정적인 연간 배출량규모를 4Gg 대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배출규모는 과거 제주지역 등을 중심으로 측정한 결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인데,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대표성이 강한 보다 객관적인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측정 자료의 축적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대기보전학회지 v.12 no.4 해수 및 대기 중 DMS 분석: 마산만을 중심으로 김기현;오재룡;강성현;이수형;이강웅
  2. 한국대기보전학회지 v.13 no.5 제주도 연안해역을 중심으로 한 DMS 농도의 관측 김기현;이강웅;허철구;강창희
  3. 한국환경위생학회지 v.24 no.3 서해지역을 중심으로 한 자연적 황화합물의 배출과 순환에 대한 연구 김기현;이강웅
  4. J. Geophys. Res. v.90 Dimethylsulfide in the marine atmosphere Andreae, M.O.;Ferek, R.J.;Bermond, F.;Byrd, K.P.;Engstrom, R.T.;Hardin, S.;Houmere, P.D.;LeMarres, F.;Raemdonck, H.;Chatfield, R.B.
  5. Mar. Chem. v.30 Ocean-atmosphere interactions in the global biogeochemical cycle Andreae, M.O.
  6. Nature v.320 no.6062 Vertical distribution of dimethy sulfide in the marine atmosphere Ferek, R.J.;Chatfield, R.B.;Andreae, M.O.
  7. J. Atmos. Chem. v.17 Numerical study of the oxidation process of dimethylsulfide in the maine atmosphere Koga, N.;Tanaka, H.
  8. J. Atmos. Chem. v.11 Seasonal variation of atmospheric dimethylsulfide at Amsterdam Island in the southern Indian Ocean Nguyen, B.C.;Mihalopoulos, N.;Belviso, S.
  9. J. Geophys. Res. v.88 NO₃and NO2 in the mid-Pacific troposphere Noxon, J.F.;Bergeret, C.;Lambert, C.
  10. J. Geophys. Res. v.92 The sulfur cycle in the marine atmosphere Toon, O.B.;Kasting, J.F.;Turco, R.P.;Liu, M.S.
  11. J. Oceanography v.52 Dimethylsulfide in Coastal Zone of the East China Sea Uzuka, N.;Watanabe, S.;Tsunogai, S.
  12. J. Geophys. Res. v.101 Atmospheric dimethlysulfide and sulfur species in aerosol and rainwater at a coastal site in New Zealand Whlie, D.J.;de Mora, S.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