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 촬영시 Head Posture Aligner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The Validity of Head Posture Aligner in Posteroanterior Cephalometry

  • 김은희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황현식 (전남대학교 치의학 연구소,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Kim, Eun-Hee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Hwang, Hyeon-Shik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Dent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0.10.01

초록

본 연구는 natural head posture(NHP)를 이용하여 정모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 촬영시 재현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두개 안면부의 기형이 없는 25세 전후의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통상적인 방법(술자 유도법)과 NHP에서 Head Posture Aligner를 이용한 방법(HPA법)으로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각기 2주 간격으로 촬영한 후 5개의 고경 계측항목과 9개의 폭경 계측항목을 선정하여 t 검정으로 각 계측항목의 재현도를 비교하는 한편, 정모와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으로3차원 상을 합성시 오차의 요인이 되는 두부의 상하회전 정도 차이를 촬영 방법별로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시간 간격을 두고 술자 유도법으로 2회 촬영한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의 계측치는 모든 고경 계측항목에서 서로 차이를 나타내어 낮은 재현도를 보였다. 2. 시간 간격을 두고 HPA법으로 2회 촬영한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의 계측치는 모든 고경 계측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재현도가 높음을 보였다. 3. 폭경 계측항목의 경우 2회 계측치의 차이를 통하여 살펴 본 재현도에서 술자유도법과HPA방법간에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정모 및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으로 3차원상을 합성하기 위한 수직적 두부 위치 보정각을 계산한 결과, 술자 유도법의 경우 $2.5^{\circ}$인 반면, HPA법은 $0.8^{\circ}$로 작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정모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 촬영시 두부 위치의 재현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HPA의 사용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posteroanterior(PA) cephalograms obtained by two methods, the Head Posture Aligner(HPA) method in natural head posture and the conventional method(operator-guided method), and to compare the vertical rotational differences of the head Posture between lateral and PA cephalograms according to the method. The sample was consisted of 30 adults. At first day, a PA cephalogram and a lateral cephalogram were obtained from each subject by two method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vertical rotational posture between lateral and PA cephalograms. Two weeks later, another PA cephalogram was obtained using each method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head posture. Five height measurements and nine width measurements were used in the paired t-test to compare the reproducibility of the PA cephalometric measurements between two methods. The differences of vertical rotational posture between lateral and PA cephalograms were calculated from a computer program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used,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Height measurements obtained by operator-guided metho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ime interval and revealed low reproducibility. 2. Height measurements obtained by HPA metho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ime interval and presented high reproducibility. 3. In the comparison of width measurement, two methods did not show distinct differences in reproducibility. 4. The difference of vertical rotational posture between lateral and PA cephalograms showed $0.8^{\circ}$ in the HPA method, more less than $2.5^{\circ}$ in the operator-guided metho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HPA may be helpful in the PA cephalometric radiography in terms of reproducibil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