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IgA 신병증 환아에서 MHC Class II유전자형과 예후와의 관계 분석

MHC Class II Allele Association in Korean Children With IgA Nephropathy and its Role as a Prognostic Factor

  • 김병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육진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장질환연구소) ;
  • 김지홍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장질환연구소) ;
  • 장윤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미생물학교실) ;
  • 신전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미생물학교실) ;
  • 최인홍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미생물학교실)
  • Kim Pyung Kil (Department of Pediatrics,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ook Jinwon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i Hong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ang Yoon Soo (Department of Pediatrics and Microbi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n Jeon-Soo (Department of Pediatrics and Microbi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In-Hong (Department of Pediatrics and Microbi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0.04.01

초록

목 적 : IgA 신병증은 혈뇨와 단백뇨를 보이는 사구체 질환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빈도가 높은 질환중의 하나 이며 우리 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도 높은 발생율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 정확한 발생기전이나 원인은 불분명한 상태이다. IgA 신병증은 발병 10년 후 $20-30\%$가 말기 신부전증으로 진행됨이 보고되고 있으나 신부전으로 진행속도는 환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특이적인 조직적합항원을 찾아냄으로서 치료 및 예후 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하여 IgA 신병증으로 진단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정상 신기능을 유지하고 있었던 소아환아 69명(Group A)과 이미 신부전으로 진행하여 신이식을 시행 받은 70명(Group B)을 포함한 신기능 저하군으로 분류하여 HLA대립유전자의 결정은 SSOP (sequence specific oligonucleotide probe)법으로 분석하여 HLA-class II(DR, DQ)대립유전자의 발현빈도와 IgA 신병증의 예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의 진단 당시의 평균나이는 A군은 $8.8{\pm}2.9$세, B군은 $35.0{\pm}15.5$세였고, 남녀비는 각각 2.8:1과 2.5:1이었다. HLA-DQB1 유전자중 139명중 $47.5\%$$03^{**}$의 발현빈도가 가장 증가되어 있었고 $06^{**}(32.4\%),\;04^{**}(28.7\%),\;05^{**}(20.1\%),\;02^{**}(8.6\%)$순이 었다. DQ7의 HLA-DQB1*0301 이 전체 환자의 20.1$\%$(28/139)로 가장 흔한 대립유전자였으나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대립유전자중 HㄴA-$DQBI^*03^{**}과\;DQB1^*05^{**}$가 이미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된 Group B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며(P<0.05), $03^{**}$ 아형중 $DQB1^{*}0302와\;05^{**}중\;DQB1^{*}05031$이 신기능이 정상인 A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 DR 유전자형의 low-frequency type상 HLA-$DRB1^*03과\;HLA-DRB1^*15$가 Group B에서 유의 있게 증가되어 있었으나, high-frequency type상에서는 양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군의 경우 신조직 검사의 소견에 따라 4등급으로 분류하여 대립유전자의 발현빈도를 분석하였으나 의미 있는 관계가 없었다. 곁 론 : IgA신병증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여러 조사에서 발병 초기의 심한 단백뇨, 고혈압, 조직 병리학상의 심한 변화 등이 있을 경우 예후가 나쁘다고 하였으며 이런 위험 인자외에 유전적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부전으로 진행하여 신대체요법을 받은 IgA신병증환자군에서 HLA-$DQB1^*0302와\;^*05031$ 대립유전자의 발현빈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어 이 결과를 바탕으로 치료후의 경과 및 예후를 진단초기에 예측하여 환자의 관리에 적용할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Our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MHC Class II (DR, DQ) allele with IgA nephropathy and its significance as a prognostic factor for progression to ESRD Material and Methods: 69 children with IgA nephropathy with normal renal function(serum creatinine $\leq$ 1.5mg/dL) was classified as group A and 70 patients who received renal transplantation due to IgA nephropathy were selected as group B. The HLA-DQB1 and HLA-DRB1 alleles were stud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sequence specific primers. We have compared the difference in alleles between these two groups and with normal control and also examined any possible effect of the MHC class II genes on the histopathological severity and prognosis of IgAN. Results: Mean age was $8.8{\pm}2.9$ years in group A and $35.0{\pm}15.5$ years in group B. Male to female ratio was 2.8:1 in group A and 2.5:1 in group B.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HLA-$DQB1^*03\;and\;DQB1^*05$ in Group B. The frequency of HLA-$DQB1^*0302\;and\;^*05031$ allele had increasing tendency in Group B(P<0.05). HLA-$DRB1^*03\;and\;^*05$ were more common in Group B(P<0.05). HLA-$DRB1^*04$ allele was the most common DR alleles in both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HC class 13 genes on the hjstopathological severity in Group A. Conclusion: In conclusion, $HLA-DQB1^*0302\;and\;HLA-DQB1^*05031 $ allele seemed to be more common in transplanted patients compared to group with normal renal function suggesting that this allele is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in IgAN. However larger studies and follow up are required to confirm this due to uncharacterized heterogeneity in etiopathogenesis of IgA nephropathy and possibly one or more than one gene may exert influence in determining susceptibility to the diseas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