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21st century is called as a knowledge based society. It means that a society has to build an efficient information system to store and retrieve their knowledge and information. I think a school library is a base educational institution to teach information skill and a student has to be trained very well to treat information in 21st century. However school library has not been developed enough in Korea, and so I suggest the strategy of school library development for the new millennium. For the purposes, I divide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school library into two parts -external and internal elements of school library environment- and examine them to suggest some policies. Even though the suggestions are still a little fantastic in the situation of scl~ml library in Korea, they should bc objects to be achieved in someday.
이 연구는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맞아 학교도서관이 나가야 할 방향을 정립하고 발전책을 논의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우선 학교도서관이 처한 사회적 배경으로서 지식기반사회의 성격과 특징을 조명하고 그러한 사회적 환경하에서 학교도서관이 발전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하여 학교도서관을 둘러싸고 있는 내외부적 환경요소를 분석하였다. 외부적 환경요소에서는 학교도서관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불러 일으키기 위한 방안과 제도개선 및 정책확립, 교육정보화의 핵심과제로서의 학교도서관의 멀티미디어화, 내부적 환경요소로서는 학교도서관의 교육활동 참여 및 지원프로그램의 개발과 21세기의 사회적 특성에 부합할 수 있는 도서관봉사의 개선방향 등을 짚어보았다. 이 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발전책의 일부는 아직 현 상황에서는 적합하지 않은 것도 있겠지만 궁극적인 지향점을 생각한다면 그것들은 언제인가는 학교도서관이 도달해야할 발전목표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