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Historical development of cataloging rules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the period of traditional single-entry cataloging, the introduction period of western cataloging rules, the period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nd the period of MARC. This study tries to review catalog organization relating to catalog structure and choice of headings, and rules for description relating to idenhfymg items from the period of traditional single-entry cataloging to the introduction period of western cataloging rules in Korea.
한국의 목록규칙 발전과정은 전통적 단일기입목록 시기(고려시대부터 1923년 경까지), 서양식 목록규칙 도입기(1923년경부터 1954년 이전까지), 국제 표준화기(1954년 이후부터), 자동화목록기(1980년 이후부터)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단일기입목록 시기와 서양식 목록규칙 도입기를 중심으로 목록의 구성이나 표목선정과 관계되는 목록의 편성체계, 그리고 문헌의 식별과 관계되는 서지기술체계 등을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