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t and Dry Years Appeared in Seoul Annual Rainfall Data

서울지점 연강수량 자료에 나타난 다우해 및 과우해의 재현 특성에 관한 연구

  • 유철상 (고려대학교 환경공학과) ;
  • 김보윤 (고려대학교 환경공학과) ;
  • 노재경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소)
  • Published : 2000.06.01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t and dry years using over 200 year records of annual rainfall depth including Chosun Age in Korea. As well as analyzing the correlation structure of the raw data, recurrence trends of wet and dry year has been investigated based on several truncation levels (mean, $mean{\pm}0.25stdv.,\;mean{\pm}O.5stdv.,\;mean{\pm}O.75stdv.,\;mean{\pm}stdv.$). Also the transition probability among wet, dry and normal years has been derived for the same truncation levels. and finally the average return periods based on the steady-state probabilities were obtained. This analysis has been applied to not only the entire data but also partial data set of before- and after-the long dry period around 1900 in order to compare and detect the possible difference between the Chukwooki (an old raingauge invented in Chosun age) and the modem flip-bucket style. As a result, Similar pattern of dry and wet year recurrence has been found, but the return period of extremely dry years after the dry period shown longer than that before the dry period. Assuming that the dry and wet years can be defined as $mean{\pm}$ standard deviations, respectively, the return period of the wet years is shown to be about 5~6 years and that of the dry years about 6~7 years.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부터 최근까지의 약 200년간의 서울지점 연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다우해 및 과우해의 재현특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기본적으로 원자료에 나타난 자기상관특성을 분석함은 물론 몇 개의 절단수준(truncation level)에 대해 다우해 및 과우해의 재현경향이 어떤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각각의 절단수준에 대해 연강수량을 평년, 다우해 및 과우해로 나누고 각각의 전이확률을 조사하여 봄으로서 궁극적으로는 각각의 경우에 대해 평년, 다우해 및 과우해의 평균재해기간이 얼마나 되는지를 추정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은 조선시대의 측우기기록과 근대의 강우관측기록을 포함한 전체의 기록뿐만 아니라 측우기 관측기록 및 근대 관측기록에 대해 각각 적용해 봄으로서 비교 분석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체자료를 이용한 결과의 경우 1900년 전후의 건조기의 영향을 제외한다면 건조기의 전반부 및 후반부만을 이용한 결과와 어느 정도 유사한 결과를 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건조기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대한 비교에서는 건조기 후반부의 기록에서, 특히 상대적으로 큰 절단수준에 대해, 과우해의 재현기간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차이를 살펴볼 수 있었다. 대략 평균에서 표준편차(약370mm)정도가 벗어난 수준을 다우해 및 과우해의 기준으로 본다면 다우해의 재현기간은 5∼6년, 과우해의 재현기간은 6∼7년 정도로 과우해의 재현기간이 다우해의 재현기간 보다 약간 길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 승, 신현민 (1993). '서울지점 강수의 장기간 변동성향에 대한 통계학적 검증', 제34회 수공학연구발표회 논문집, 한국수문학회, pp. 264-272
  2. 정현숙, 임규호 (1994). '서울지역 월강수량과 강수일의 관계',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28권 2호, pp. 125-132
  3. 정현숙, 임규호, 오재호 (1999) '측우기 관측강우량 자료에 근거한 한반도 건조기에 관한 연구', '99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47-152
  4. 정현숙 (1999). 서울지역 강수량의 시계열에 나타난 시간 변동성의 해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 Lim, G. H. and Jung, H. S. (1992). 'Interannual variation of the annual precipitations at Seoul', 1771-1990, J. Korean Meteoro. Soc., Vol. 28, pp.487-505
  6. Parzen, E. (1962). Stochastic Processes, Holden-Day,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