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 다릅나무의 입지별 생장량

Growth of Maackia amurensis at Different Sites of Mt. Joongwang Kangwon-Do, Korea

  • 이돈구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권기철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엄태원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발행 : 2000.12.01

초록

다릅나무의 입지별 생장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에서 30m×30m 크기의 조사구 28곳을 선정하여 식생 및 환경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해발고가 약 100m 간격으로 있는 5곳의 조사구에서 각각 다릅나무 2그루씩을 선택하여 수간석해를 하였다. 그 결과, ⑴ 다릅나무의 수고 생장은 모든 입지에서 평균 10년까지 평균 수고 생장량이 급격한 증가를 보이다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해발 1,020m 이상에서 수고생장이 크게 감소하였다. ⑵ 다릅나무는 유리한 환경에서 매우 빠른 초기 수고생장과 재적 생장을 보여 물질 생산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층층나무와 거제수나무와 같은 초기침입수종이 가지는 생장전략을 보여주었다. ⑶ 천연림에서 다릅나무의 경제적 벌기령은 50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해발 840m에서는 경제적 벌기령이 60년 이상으로 나타나 고지대에 비해 더 우수한 생장을 보여주고 있었다. ⑷ 다릅나무는 수령 40년 이상에서도 경쟁목의 고사 등으로 주변 환경이 개선되면 재적생장량이 크게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patterns of Maackia amurensis growing in natural forest of Mt. Joongwang, Pyongchang-gun, Kangwon-Do, Korea. The 28 sample plots(30m$\times$30m) wee established to examine the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M. amurensis forest. Stem analysis was performed on two sample trees of M. amurensis for each of the 5 plots situated at intervals of one hundred meters by altitud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⑴ Height growth of M. amurensis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 until 10 years, and then decreased thereafter, especially at altitude of 1,020m. ⑵ M. amurensis showed rapid early growth of height and volume, indicating high biomass production under favorable environment. This growth pattern is typical of pioneer species such as Cornus controversa and Betula costata. ⑶ The rotation age of natural M. amuensis forest was estimated at above 50 years, and especially at about 60 years in 840m above the sea level. ⑷ Growth of M. amurensis increased greatly at about 40 years when released from severe competitio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