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내후성 활엽수종의 추출성분을 이용한 신기능성 물질의 분리 및 생리활성

Bioactivities and Isolation of Functional Compounds from Decay-Resistant Hardwood Species

  • 배영수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
  • 이상용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
  • 오덕환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최돈하 (임업연구원 화학미생물과) ;
  • 김영균 (국민대학교 삼림과학대학)
  • 발행 : 2000.12.01

초록

아까시나무의 목질부와 현사시나무, 물푸레나무 및 느릅나무의 수피를 채취하여 아세톤-물 혼합용액(7:3, v/v) 으로 추출한 후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및 수용성으로 분획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조제한 후 메탄올-물 등의 용리용매로 Sephadex LH-20 칼럼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물푸레나무에서는 aesculitin 및 그 파생물인 fraxetin 등 다량의 쿠마린 화합물과 에스테르화합물을 단리하였으며, 느릅나무로부터 C-7에 xylopyranose와 apiofuranose와 같은 5탄당이 결합된(+)-catechin 배당체 화합물과 procyanidn B-3를 단리하였다. 아까시나무에서는 leucorobinetinidin의 C-4에 ethoxyl 기가 결합된 flavan 유도체 화합물과 robinetin 등의 flavanonol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현사시나무에서는 taxifolin 등의 후라보노이드 화합물과 배당체인 sakuranetin-5-O-glucopyranoside를 단리하였으며 살리신 유도체인 salireposide 등을 단리하였다. 내후성 시험에서는 목재블록에 부후균을 접종하여 배양한 후 중량감소를 측정하는 방법과 목분-agar 배지에 부후균을 접종한 후 균사의 생장 직경을 측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아까시나무가 다른 시룓르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메탄올 추출머리를 하지 않은 시료가 처리한 시료보다 좋은 균사생장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항산화 활성 시험에서는 물푸레나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아까시나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도 비교적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 두 분획으로부터 단리된 주요 단리화합물에 대해서는 물푸레나무의 aesculetin이 가장 높았으며 아까시나무의 robinetinidin도 비교적 좋은 효과를 나타냈다.)나 틈새시장(niche market) 마케팅 등에 적용 가능하리라 여겨진다.된다.다.산물로 판단되었다.징하며 WLWQ에 적용되는 몇 가지 제약을 관찰하고 이를 일반적인 언어원리로 설명한다. 첫째, XP는 주어로만 해석되는데 그 이유는 XP가 목적어 혹은 부가어 등 다른 기능을 할 경우 생략 부위가 생략의 복원 가능선 원리 (the deletion-up-to recoverability principle)를 위배하기 때문이다. 둘째, WLWQ가 내용 의문문으로만 해석되는데 그 이유는 양의 공리(the maxim of quantity: Grice 1975) 때문이다. 평서문으로 해석될 경우 WP에 들어갈 부분이 XP의 자질의 부분집합에 불과하므로 명제가 아무런 정보제공을 하지 못한다. 반면 의문문 자체는 정보제공을 추구하지 않으므로 앞에서 언급한 양의 공리로부터 자유롭다. 셋째, WLWQ의 XP는 주제어 표지 ‘는/-은’을 취하나 주어표지 ‘가/-이’는 취하지 못한다(XP-는/-은 vs. XP-가/-이). 이는 IP내부 에 비공범주의 존재 여부에 따라 C의 음운형태(PF)가 시성이 정해진다는 가설로 설명하고자 했다. WLWQ에 대한 우리의 논의가 옳다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기닌다. 첫째, WLWQ의 존재는 생략에 대한 두 이론 즉 LF 복사 이론과 PF 삭제 이론 중 전자의 입장을 지지한다. 둘째, WP를 XP로부터 복원할 때 부분 자질만 복사된다. 이는 어휘가 통사층위로 들어온 이후에도 어휘 자질들이 완전히 동결되는 것이 아니라 계속 지시될 수 있다는 가설을 지지한다.ance and stress, and high threshold voltage. Besides, sheet resistance and stress value, rms(root mean square) by AFM were observed. On the electrical

Wood of Robinia pseudoacacia and bark of Populus alba$\times$P. glandulosa, Fraxinus rhynchophylla and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were collected and extracted with acetone-water(7:3, v/v) in glass jar to examine whether its bioactive compounds exist. The concentrated extracts were fractionated with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and water, and then freeze-dried for column chromatography and bioactive tests. The isolated compounds were sakuranetin-5-O-$\beta$-D-glucopyranoside from Populus alba $\times$Pl glandulosa, 4--ethyoxy-(+)-leucorobinetinidin frm R. pseudoacacia and fraxetion from F. rhynchophylla and were characterized by $^1H$ and$^{13}C $ NMR and positive FAB-MS. Decay-resistant activity was expressed by weight loss ratio and hyphae growth inhibition in the wood dust agar medium inoculated wood rot fungi. R. pseudoacacia showed best anti-decaying property in both test and its methanol untreated samples, indicating higher activity than methanol treated samples in hyphae grwoth test. In antioxidative test, $\alpha$-tocopherol, one of natural antioxidants, and BHT, one of synthetic antioxidants, were used as references to cmpare with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acted fractions. Ethylacetate fraction of F. rhynchophylla bark indicated the hightest activity in this test and all fractions of R. pseudiacacia extractives also indicated higher activities compared with the other fractions. In the isolated compounds, aesculetin isolated from F. rhynchophylla bark showed best activity and followed by robonetinidin from R. pseudoacaic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