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Distribution of Microbial Population in the Gangjin Bay Ecosystem

강진만 생태계에서의 이화학적 특성과 미생물군집의 계절적 분포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physicochemical factors and microbial populations in seven stations at water region of Gangjin bay, nutritive salts, water temperature, transparency, suspended solid, salinity, COD, DO, pH, heterotrophic bacteria, fungi and fecal coliform were analysed four times from February to October, 1999. Total fecal coliform and heterotrophic bacterial population during investigation periods ranged 16.1~166.0 CFU/ml and $5.0{\times}10^3$~$13.1{\times}10^3$CFU/ml, respectively. Stational mean values of these bacterial population showed higher densities at the inlet of fresh water inflow than those of other stations. When the aspects of abiotic and biotic parameters measured were analyzed, ecosystem of Gangjin bay was regulated by factors such as inflow of fresh water, nutrient salts, salinity and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during four seasons.

강진만 수역에서 이화학적 요인과 미생물군집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영양염류, 수온, 투명도, 염분도, DO, COD 및 종속영양세균, 균류 그리고 분변성 대장균을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사기간 동안 분변성 대장균군과 종속영양세균의 개체수 변화는 각각 16.1~166.0 CFU/ml 과 $5.0{\times}10^3$~$13.1{\times}10^3$CFU/ml의 범위를 보였다. 또한 이들 세균군집의 정점별 평균값은 다른 정점보다 담수유입 수역인 1번 정점에서 매우 높은 밀도를 보였다. 이화학적 조사와 미생물학적 조사 결과를 고찰했을 때 강진만 생태계는 계절에 따라 2~4개 요인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보이며, 주로 담수유입, 영양염류, 염분도 그리고 수온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들 결과로 볼 때 강진만의 생태계에서 환경 요인의 영향은 다른 만 (광양만, 진해만, 마산만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7 강진만 생태계의 환경요인 분석 강성윤;김두홍;주현수;이우범;이제철;박종천
  2. 한국육수학회지 v.24 만경강 하구의 저서동물과 서식환경에 관한 연구 김지식
  3. 해양 · 미생물학 김상진;이건형
  4. 한국육수학회지 v.31 낙동강 하구의 환경요인 및 미생물 분포 김원진;이혜주
  5.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6 광양만 생태계의 미생물군집에 관한 환경요인 분석 박종천;이우범;주현수
  6.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진해만 생태계에 있어서 미생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의 분석 안태석
  7. 한국육수학회지 v.24 만경강하류 생태계에서의 종속영양세균의 계절적분포와 이화학적 특성 이건형;이영옥;이규춘
  8.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1 광양만 미생물군집에 관한 환경요인 분석 위인선;전순배;이종빈;나명석
  9. 한국미생물학회지 v.19 진해만의 미생물 분포 최영길
  10. 환경과학연구소논문집 v.2 마산만의 미생물 분포에 관한 연구 최영길;안태석
  11. 서울대학교자연과학대학논문집 광양만 생태계에서 미생물군집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분석 하영칠
  12. 진해만 해양기초보고서 하영칠
  13. 한국환경미생물학회지 v.2 광양만 미생물 군집의 변화에 관하여 홍순우;하영칠;안태석;권오섭
  14. 한국환경연감 환경부
  15. 환경오염 공정시험법 (해수편) 환경부
  16.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 water(18th ed.) APHA;AWWA;WPCF
  17. Appl. Environ. Microbiol. v.29 Influence of environmental stress on enumeration of indicator bacteria from natural waters Bissonnate, G.K.
  18. Biology of Microorganisms (8th ed.) Microbial activities in nature Brock, T. D.
  19. Appl. Environ. Microbiol. v.43 Diversity dynamics of marine bacteria studies by immunofluoescent staining on membrane filters Dahle, A.B.;M. Laak
  20. International council for the exploration of the sea Charlottenland Carberg, S.R.
  21. J. Kor. Wa. Pollut. Res. Cont. v.1 Factor Analysis of water Quality and Ecosystem in Jinhae Bay Hong, S.W.;O.C. Hah;T.S. Ahn
  22. Marine Pollution Bulletin v.33 Environmental variable and their association with facal coliform and facal streptococci densities at thirteen Sydney beach Krogh, M.;L. Robinson
  23. Wat. Sci. Tech. v.38 Survival and transfer of faecal indicator organisms of wastewater effluents in receiving lake waters Rajala, R.L.;H. Heinonen-Tanski
  24. A practical handbook of sea water analysis Bull. Fish. Res. Bd. Con. No. 167. Strichland, J.D.H.;T.R. Parsons
  25. Z. Hydrobiol. v.37 Gewasserfeindliche Wirkung von Ohophaten in Flussen und Bachen Thomas, 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