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uctural Analysis of the North Sobaegsan Massif in the Sangun-myeon area, Bonghwa-gun, Korea

봉화군 상운면지역에서 북부 소백산육괴의 지질구조 해석

  • 강지훈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김형식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To clarify the geological structure of North Sobaegsan Massif in the Sangunmyeon area, Bonghwagun, Korea, where the Yecheon Shear Zone passes and the NE-SW and E-W trending structural lineaments are developed, the rock-structures of its main constituent rocks(Precambrian Won-nam Formation and Mesozoic Hornblende Granite) were examined. In this area, the geological structure was formed at least by four phases of deformation after the formation of gneissosity or schistosity of the Wonnam Formation: one deformation before D2 ductile shearing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e Yecheon Shear Zone and two deformations after that. The NE-SW and E-W trending structural lineaments were formed by a giant open or gentle type of F4 fold, and their trends before D4 deformation are interpreted to be parallel to the orientation(ENE-WSW trend) of folded surface in the F4 hinge zone. The structural features of Dl-D3 deformations and their relative occurrence times are as follows. Dl deformation is formative period of the boudin structures and ENE-WSW trending isoclinal folds with sub-horizontal hinge lines and steeply inclined axial surfaces. D2 deformation is that of the mylonite foliation, stretching lineation and Z-shaped asymmetric folds related to top-to-the ENE dextral strike-slip shearing on the distinct foliations of Wonnam Formation(after intrusion of Mesozoic Hornblende Granite). D3 deformation is that of the ENE trending S-shaped asymmetric folds with sub-horizontal hinge lines and axial surfaces related to normal-slip shearing on the distinct foli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will be contributed to as valuable data for interpreting the tectonic evolution of the North Sobaegsan Massif and the Northeast Ogcheon Belt whose tectonic lineaments are changed from NE-SW to E-W trends at the Sindong-Bonghwa line.

예천전단대가 통과하고 북동-남서 방향의 구조선과 동처 방향의 구조선이 발달하고 있는 경북 봉화군 상운면지역에서 북부 소백산육괴의 지질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이 지역의 주 구성암류인 선캠브리아기 원남층과 중생대 각섬석 화강암에 대한 암석구조를 연구하였다. 이 지역의 지질구조는 원남층의 편마면 내지 편리면이 형성된 이후 적어도 네 번의 변형단계(예천전단대 형성과 관련된 D2 연성전단변형 이전에 한 번의 변형작용과 이후에 적어도 두 번의 변형작용)를 걸쳐 형성되었다. 북동-남서 방향의 구조선과 동서 방향의 구조선은 하나의 거대한 완사 내지 개방형 F4 습곡작용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D4 변형 이전에 이들 구조선은 F4 습곡축부의 방향과 평행한 동북동서남서 방향이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D4 변형 이전의 각 변형단계 별 구조적 특성 및 상대적인 발생시기는 다음과 같다: Dl 변형-준 수평적인 습곡축과 고각으로 경사하는 습곡축면을 갖는 동북동 방향의 등사습곡과 부딩구조 형성기; D2 변형-북쪽으로 경사하는 원남층의 우세한 엽리면의 상부가 동북동쪽으로 이동하는 대규모의 우수 주향 이동성의 연성전단운동에 의한 압쇄구조면과 신장선구조 그리고 Z자형 비대칭 습곡형성기(중생대 각섬석 화강암이 관입된 이후); D3 변형-원남층의 우세한 엽리면의 상부가 경사 방향(북북서 방향)으로 떨어지는 정전단운동에 의한 준 수령적인 습곡축과 습곡축면을 갖는 동북동 방향의 S자형 비대칭 습곡 형성기.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동-봉화 연결선을 경계로 지구조선의 방위가 북동-남서 방향에서 동-서 방향으로 전환되는 북부 소백산육괴와 옥천대 북동부의 지구조 발달과정을 해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암석학회지 v.6 장군봉지역 선캠브리아대-고생대 변성퇴적암류의 지질구조 - 북부 소백사육괴의 중앙부 지역의 지각진화와 환경지질. 강지훈;김형식;오세봉
  2. 암석학회지 v.7 장군봉지역 북부 소백산육괴의 고생대 변성퇴적암류에 대한 변형작용과 변성작용 사이의 상대적인 시간관계 강지훈;오세봉;김형식
  3. 지질학회지 v.13 Landsat-1 영상에 의한 태백산 지역 지질구조와 암석분포 상태에 관한 연구(1) 강필종;김의홍;임정웅
  4. 지질학회지 v.33 호남전단대의 운동시기에 관한 소고 권성택;이진한
  5. 지질학회지 v.22 한반도 지각의 진화에 관한 연구(태백산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1편: 삼척탄전 동부의 층서, 고생물 및 지질구조 김봉균;정창희;백광호;김정환;김정률
  6. 광산지질 v.2 남한 중부지역의 지질과 지구조 김옥준
  7. 지질학회지 v.27 삼척탄전 증산-사북지역의 지질구조 김정환;최원학
  8. 지질학회지 v.26 화순탄전에 발달된 순창전단대의 구조적 특징 김정환;기원서
  9. 춘양도폭 및 설명서 한국지질도(1 : 50,000) 손치무;김수진
  10. 예안도폭 및 설명서 한국지질도(1 : 50,000) 이대성;이하영
  11. 지질학회지 v.26 한반도 남서부 영광읍부근 연성전단대의 변형특성 연구 이병주;김동학;전경석
  12. 지질학회지 v.28 화순탄전 북부지역에서 우수향 연성주향 이동운동에 관련된 변형작용 이병주
  13. 광산지질 v.15 백운산 향사 서단부의 구조계층과 습곡작용의 과정 이재영;박봉순
  14. 지질학회지 v.25 전주 부근 화강암의 연성변형작용에 관하여 장태우;한영민
  15. 지질학회지 v.30 광주 전단대내 석영 분쇄암의 미구조에 관한 연구 장태우
  16. 한국동력자원연구소 v.KR-87 no.27 영남육괴 Rb/Sr연대측정 연구(Ⅳ)(목포지구 화강편마암, 태백지구 율리통 및 화강암류) 주승환
  17. 지질학회지 v.35 소백산육괴 동북부 영주-춘양지역의 트라이아스기말-쥬라기초 화강암체의 열사 및 그 지구조적인 의의 진명식;장보안
  18. 학술원 논문집 삼척탄전의 지질구조 정창희
  19.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v.1 Orthogeneiss, mylonite and non coaxial deformation of granites: the example of the South Armorican Shear Zone Berth;D.;Choukroune;P.;Jegouzo;P.
  20. Jouran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27 On the microstructures of mylonitic rocks-with special reference to Yecheon shear zone, Korea- Chang;T.W.
  21.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Geological map of Korea(1: 1,000,000) Chwae;U. C.(et al.)
  22. Tectonophysics v.194 Indosinian ductile fault dextral system and synkinematic plutonism in the southwest of Ogcheon belt(S. Korea) Cluzel;D.;Lee;B. J.;Cadet;J. P.
  23. Structural geology: fundamentals and modern developments Ghosh;S. K.
  24.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v.13 Intense non-coaxial shear and the development of mega-scale sheath folds in the Arunta Block, Central Australia Goscombe;B.
  25. Tectonic Evolution of East Asia, First Joint Meeting of Japanese and Korean Sturcture and Tectonic Research Groups, Seoul Geological and rock structures of the North Sobaegsan Massif in the Janggunbong area, Korea Kang;J. H.;Kim;H. S.;Oh;S. B.;Koh(ed);H.J.(ed);Lee(ed);B.J.(ed)
  26. Geological Society of Korea Geology of Korea Lee;D. S.
  27.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v.6 S-C mylonite Lister;G.S;Snoke;A.W.
  28. Jouranl of Structural Geology v.10 Geometry of sheath folds and related fabrics at the Luikonlakti mine, Svecokarelides, eastern Finland Park;A.F.
  29.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v.2 Extensional structures in anisotropic rocks Platt;J.P.;Vissers;R.L.M.
  30. Folding and fracturing of rocks Ramsay;J. P.
  31. Korea Institude of Energy and Resources Geology of Korea Reedman;A. J.;Um;S. H.
  32.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v.11 Tubular folds and sheath folds: definitions conceptual models for their development, with examples from the Grapesvare area, northern Sweden Skjernaa;L.
  33. University of Tokyo v.35 The Honam shear zone (S. Korea): deformation and tectonic implication in the Far East Yanai;S.;Park;B. S.;Oto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