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열 1예의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과 경두부 자기자극

Functional-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in a Case of Schizencephaly

  • 변우목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 ;
  • 한봉수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 ;
  • 이재교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 ;
  • 장용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
  • 발행 : 2000.06.01

초록

목적 : 뇌열환자에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과 경두부 자기자극을 이용하여 뇌기능을 지도화하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자기공명영상에서 우측 대뇌반구에 뇌열 소견이 있으며 좌측 편측부전마비를 보인 28세 남자환자를 대상으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과 경두부 자기자극을 시행하였다. 임상적으로 좌측 손의 운동기능은 감소되어 있었고, 우측 손의 운동기능은 정상범주에 속하였다. 뇌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은 EPI 기법을 이용하였고 운동자극은 1-2 Hz의 주기로 손가락을 아래위로 구부리게 하는 운동을 시행하였고 15초의 휴식기와 15초의 운동기를 반복하여 절편당 60 개의 영상을 획득하였다. 두부자기자극은 지름 90mm의 원형 자성자극기를 이용하여 maximal out-put의 80%로 자극하여 양측 단무지 외 전근에서 유발된 운동유발전위의 잠시와 진폭을 구하였다. 결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결과 정상적인 우측손의 운동자극시에 좌측 운동피질이 활성화되었고 좌측손의 운동자극시에는 좌측운동피질, 좌측 부가운동영역, 그리고 자측 전운동영역에 활성화소견이 나타났다. 두부자기자극에서는 우측 대뇌반구에서는 한군데에서도 운동유발 전위가 발생되지 않았다. 좌측 대뇌반구에서는 5군데에서 운동유발전위가 유발되었으며 모두 양측 단무지 외 전근에서 운동유발전위가 유발되었다. 양손에서 운동유발전위의 잠시 , 진폭 모양이 유사하였다. 결론: 뇌열환자의 손운동기능의 피지도화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과 두부자기자극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시행할 수 있었다. 뇌열환자의 동측 운동경로는 동일한 운동피질로부터 기원한 동측피질척수로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functional brain mapping of both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and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TMS) in a case of schizencephaly. Materials and methods : A 28-year-old man, who had left hemiplegia and schizencephaly in right cerebral hemisphere, was exacted with both functional MRI and TMS. Motor function of left hand was decreased whereas right hand was within normal limit. For functional MRI, gradient-echo echo planar imaging($TR/TE/{\alpha}$=1.2 sec/90 msec/90) was employed. The paradigm of motor task consisted of repetitive self-paseo hand flexion-extension exercises with 1-2 Hz periods. An image set of 10 slices was repetitively acquired with 15 seconds alternating periods of task performance and rest and total 6 cycles (three ON periods and three OFF periods) were performed. In brain mapping, TMS was performed with the round magnetic stimulator (mean diameter; 90mm). The magnetic stimulation was done with 80% of maximal output. The latency and amplitude of motor evoked potential(MEP)s were obtained from both abductor pollicis brevis(APB) muscles. Results : Functional MRI revealed activation of the left primary motor cortex with flexion-extension exercises of healthy right hand. On the other hand, the left primary motor cortex, left supplementary motor cortex, and left promoter areas were activated with flexion-extension exercises of left hand. In TMS, magnetic evoked potentials were induced in no areas of right cerebral hemisphere, but in 5 areas of left corebral hemisphere from both abductor pollicis brevis. Latency, amplitude, and contour of response of the magnetic evoked potentials in both hands were similar. Conclusion : Functional MRI and TMS in a patient with schizencephaly were successfully used to localize cortical motor function. Ipsilateral motor pathway is thought to be secondary to reinforcement of the corticospinal tract of the ipsilateral motor cortex.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