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tial Diagnosis of Bicornuate and Septate Uterus : Is Comparison of Septal Signal Intensity on MR Image Useful\ulcorner

양각 자궁과 중격 자궁의 감멸 진단: 자기공명영상에서 자궁 격막 신호 강도의 비교는 유용한가\ulcorner

  • 김종철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변재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백승연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Purpose :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omparison of the signal intensity of uterine septum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bicornuate and septate uterus on magnetic resonance (MR) imaging. Materials and methods : Preoperative MR imaging findings of surgically proven 5 bicornuate and 6 septate uteri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Because preoperative differential diagnosis of both was possible in all cases in terms of the intercornual distance, external contour of uterine fungus, and divergent angle of two uterine cavities, these criteria were excluded in this study. The signal intensity of uterine septum in patients with bicornuate and septate uterus was analyzed on T1-weighted and fast spin echo T2-weighted images obtained in the axial and coronal planes, using a 1.5-T MR scanner. The signal intensity of uterine septum especially on T2-weighted images was compared with that of myometrium or junctional zone. Results : The signal intensity of uterine septum in patients with bicornuate uterus (n=5) and septate uterus (n=6) was similar to that of myometrium in all cases on T1-weighted images. The septum of bicornuate uterus (n=5) on fast spin echo T2-weighted images was isointense with myometrium in three and hypointense in two cases. The uterine septum of septate uterus (n=6) on T2-weighted images was isointense with myometrium in two, hypointense in two, and isointense with or more hypointense than junctional zone in two cases. No patient showed different signal intensity between upper and lower uterine septum. Conclusion : Because the MR signal intensity of the uterine septum in bicornuate or septate uterus is variable, it should not be used alone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them. In these clinically important differentiation, therefore, comprehensive analysis of MR findings in terms of the external contour of uterine fundus, intercornual distance, divergent angle of two uterine cavities, in addition to the signal intensity of the uterine septum, should be considered.

목적 : 양각 자궁과 중격 자궁의 자기공명영상 감별에 있어서 자궁 격막의 신호 강도 비교가 유용한지 알아보는 데에 있다. 대상 및 방법 : 수술로 확진된 양각 자궁 5예와 중격 자궁 6예를 대상으로, 수술전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후향적으로 재분석하였다. 양각의 거리, 자궁 저부의 외형 양각이 이루는 각도 등으로 양자의 감별은 수술 전에 이미 전례에서 가능하였기 때문에, 상기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양각 자궁과 중격 자궁에서 자궁 내에 존재하는 격막의 신호 강도를 1.5-T기기를 이용한 T1 강조 및 급속 스핀 에코 T2 강조 축상 및 관상면 영상에서 비교하였다. 특히 급속 스핀 에코 T2 강조 영상에서 격막의 신호 강도를 자궁근이나 접합대의 신호 강도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양각 자궁(n=5)과 중격 자궁(n=6)의 자궁 격막은 전례 모두 T1 강조 영상에서 자궁근과 비슷한 신호 강도를 보였다. T2 강조 영상에서는 양각 자궁(n=5)의 경우 자궁근층과 비슷한 신호 강도를 보인 경우가 3예, 자궁근층보다 낮은 신호 강도를 보인 경우가 2예이었다. 중격 자궁(n=6)은 T2 강조 영상에서 자궁근층과 비슷한 신호 강도를 보인 경우가 2예, 자궁근층보다 낮은 신호 강도를 보인 경우가 2예, 접합대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낮은 신호 강도를 보인 경우가 2예이었다. T2 강조 영상에서 자궁 격막의 상부/하부 신호 강도가 상이하게 관찰된 경우는 양자 모두에서 1예도 없었다. 결론 : 양각 자궁과 중격 자궁의 자기공명영상에서 자궁 격막의 신호 강도는 다양한 양상을 보이므로 양자의 감별에 단독적으로 사용되어서는 곤란하다. 임상적으로 중요한 양자의 감별에는 자궁 격막의 신호 강도뿐만 아니라, 자궁 저부의 외형, 양각의 거리, 양각이 이루는 각도 등 종합적인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고려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