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누보 도자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ft Nouveau Ceramics

  • 유미자 (홍익대학교 조형대학 가구. 제품디자인 전공)
  • 발행 : 2000.08.01

초록

세계의 역사적인 문화재를 살펴보면 도자기가 차지하는 부분이 매우 광범위하다. 오랜 세월이 지나는 동안 도자는 많은변화와 발전을 가져왔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필수품을 초월하여 예술의 한 분야로서 인간생활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19세기 전후에 등장한 아르누보 스타일은 도자공예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으며 현대에 와서도 복사되어 생산되고 있다. 특히 현대인의 table ware Design에 응용되어 개인의 고상한 개성을 잘 나타내어 주고 있으며 풍요로운 식탁으로서 표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아르누보 도자기의 가능성 즉, 조형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조형미를 표출시키는 동시에 현대 도자 디자인의 창의력 표현영역을 확대함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인은 문헌조사와 자료분석을 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제작된 대표적인 아르누보 도자기를 1895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순으로 나열하였다.

Taking a look at art history around the world reveals the presence of ceramics in a wide range of areas.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and developments over the years, but especially notable is the fact that in the course of history, the craft of ceramics has become an aesthetic art form rather than serving the original purpose of providing daily object of necessity. The Art Nouveau movement had peat influence in the development of ceramics before and after 19$^{th}$ century, and its inherent style continues to be copied and produced to modem day. The Art Nouveau style can today be seen particularly in contemporary tableware designs reflecting its graceful motifs that are now richly presenting themselves on table settings. This study looks at the possibilites of Art Nouveau in ceramics, namely by combining both traditional formativ qualities and contemporary visual inspirations to seek new expressions of beauty. In order to document records and analyze formative developments of Art Nouveau, representative pieces have been chronologically presented to cover the period from 1895 to the present.

키워드